세계일보

검색

보건소 이용률, 코로나19 확산세로 42%나 “뚝!”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11-22 13:51:45 수정 : 2021-11-22 13:51: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심평원·건보공단 연구팀 “확산세 줄어도 이전으로 회복 ‘無’”
“확산 전 기간 21만4000여건서 확산기 12만3600여건 ‘급감’”
“회복기에 코로나 확산 더뎌져도 주당 이용건수 12만709건”
“보건소 주 이용자인 취약계층의 건강관리 위한 대책 필요”
검체 체취 확인하는 의료진. 연합뉴스

 

지역사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소 이용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42%나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든 이후에도 떨어진 이용률은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진은 지난해 2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코로나19 제1차 대유행 기간과 전후의 보건소 이용 건수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20년 1월20일부터 2월23일까지를 ‘확산 전 기간’(pre-wave), 2월23일부터 4월19일까지를 ‘확산기’(spreading), 4월19일부터 8월16일까지를 ‘회복기’(recovery) 등으로 구분했다. 

 

이 기간 보건소 이용 총 건수는 1589만8342건으로, 주당 평균은 18만7039건이었다.

 

‘확산 전 기간’에는 주당 보건소 이용 건수가 21만4281건이었다가 ‘확산기’에는 12만3681건으로 약 42.2% 감소했고, ‘회복기’는 코로나19의 확산이 더뎌진 기간이었는데도 주당 보건소 이용 건수는 12만709건으로 오히려 더 줄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확산기 이전에도 주당 평균 보건소 방문 횟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확산기를 거치면서 감소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해졌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부산·대구·인천·경기 등 인구밀도가 높아 코로나19 확산세와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가 높았던 지역에서는 보건소 방문 감소 경향이 더욱 뚜렷했다.

 

연구진은 감염병 확산으로 보건소 의료인력이 방역조사와 코로나19 검사 업무에 배치되면서 ‘주민 건강 증진’과 ‘외래 환자 진료’ 등 기존 업무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건강 척도도 악화했다. 환자의 주요 진단 질환을 제외한 나머지 질환의 수를 나타내는 ‘동반질환지수’(CCI) 평균치는 확산 전 기간 1.88에서 확산기 2.01로 뛰었다. 회복기에는 1.89로 다시 떨어졌다.

 

연구진은 사설 병·의원보다 보건소 이용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을 들어 “보건소 주 이용자인 저소득층, 노인, 농어촌 지역 인구 등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