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최근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부실대응 논란’과 관련해 지역경찰·신임 경찰관 교육체계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 신변보호 여성 사망 사건’과 관련해서는 스마트워치 위치추적 시스템도 개선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22일 오전 10시 김창룡 경찰청장 주재로 ‘전국 경찰 지휘부 화상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경찰청 지휘부와 시도경찰청·부속기관장, 경찰서장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김 청장은 “최근 인천 층간소음 난동사건과 서울 신변보호 대상자 사망 사건에서 경찰이 위험에 처한 국민 안전을 제대로 지켜드리지 못했다”며 “소극적이고 미흡한 현장대응으로 범죄 피해를 막지 못한 점에 대해 피해자와 그 가족,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 안전은 경찰의 존재 이유이자 궁극적 목표임에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 경찰의 최고 책임자로서 엄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이 사건들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로 관련자에 대한 책임을 묻는 한편, 문제의 원인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 잘못된 부분을 신속하고 빈틈없이 보완하고 개선하는 데 조직 전체가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위급한 상황에 처한 국민에게 112신고는 SOS 그 자체”라며 면밀한 진상 파악·확인을 통해 현장대응과 관련 제반 교육·훈련, 경찰관의 자세·마음가짐·제도·장비 등에 대한 개선·보완 조치를 당부했다.
당장 경찰청 차장이 주관하고 관련 국·관이 참여하는 현장 대응력 강화 TF를 꾸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지역경찰·신임 경찰관 교육체계 개편 ▲장비 실용성 강화 및 사용훈련 강화 ▲법·제도적 기반 확충 ▲매뉴얼 개선 등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범죄 피해자 신변보호 내실화를 위해 스마트워치 위치확인 시스템도 개선하기로 했다. 범죄 피해자 보호·지원 대책을 현장에 안착시키는 한편, 스토킹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의 재범차단과 실질적 격리를 위한 대책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