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관영매체가 사상·기술·문화혁명을 뜻하는 제5차 ‘3대혁명 선구자대회’를 두고 성과와 의미를 부각하며 내부 사상강화에 나섰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상보’를 발표하고 대중동원운동인 ‘3대혁명붉은기 쟁취운동’이 시작된 1970년대의 분야별 성과를 알렸다.
상보는 당시 하루 평균 100만kWh를 증산한 평양화력발전소 등의 성과를 나열하며 “3대혁명 선구자들이 용진한 대고조 열풍 속에 (1970년) 당 제5차 대회가 제시한 6개년 인민경제계획은 1년4개월이나 앞당겨 완수됐다”고 말했다.
또 1970∼1979년에는 북한의 공업생산이 연평균 15.9% 성장했고, 공업 총생산액은 3.8배로 늘어났다고 회고했다.
1970년대에는 사회주의 문화도 융성했다며 혁명가극 ‘피바다’와 ‘꽃 파는 처녀’, ‘당의 참된 딸’, ‘밀림아 이야기하라’, ‘금강산의 노래’ 등 북한의 5대 가극 창작도 꼽았다.
과학기술 교육 발전도 상당했다며 “1971년부터 1975년 사이에 새로 52만3000여명의 기술자, 전문가들이 양성돼 인민경제 종업원 총수에서 기술자, 전문가는 1976년 19.2%에 이르렀다”고 보도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이날 “새로운 5개년 계획의 첫해 과업을 무조건, 철저히 관철하기 위한 전 인민적인 총돌격전이 마감 단계에서 힘있게 벌어지고 있는 격동적인 시기에 진행되는 제5차 3대혁명선구자대회”라고 부각했다.
3대혁명 선구자대회는 북한 내 대중동원 운동인 3대 혁명붉은기 쟁취운동을 독려하는 행사다. 이전에는 ‘3대혁명붉은기 쟁취운동 선구자대회’ 이름으로 1986년 11월, 1995년 11월, 2006년 2월, 2015년 11월 등 4차례 개최됐다.
이번에 열린 5차 대회는 김정은 집권 이후 두번째로 열리는 것이다. 지난 1월 제8차 당대회에서 제시된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의 첫해인 올해 경제성과 문제점을 결산하고 향후 성과를 독려하려는 목적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북제재 장기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국경봉쇄에 따른 경제난 속에서 주민들의 사상을 강화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매체들은 이번 대회의 개최 시점이나 일정은 아직 보도하지 않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