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2030 남성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페미니즘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온라인 커뮤니티 글을 선거대책위원들에게 공유한 이유와 관련 “거기에 동의해서 (공유)한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 차별금지법 처리에 대해서는 “필요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오해나 곡해를 불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10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해당 글을 공유한 이유와 해당 글 주장에 동의하는지를 묻는 말에 “저와는 매우 다른데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으니 최소한 외면은 말고 직면하자는 차원이었다”라고 답했다. 이 후보는 '2030 남자들이 펨코에 모여서 홍(洪)을 지지한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비공개 선대위 회의에서 언급하고 일독을 권유한 바 있다. 펨코는 ‘에펨코리아’의 줄임말로 최근 홍준표 의원에 대한 20~30대의 지지세가 강하게 표출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알려져 있다. 글쓴이는 “이재명이 문재인정부의 다소 페미 우선적인 정책과 차별화를 이뤄낼 수 있다면 2030 남성들의 지지를 얻어낼 수 있다”고 썼다.
이날 이 후보는 "저는 평등을 지향한다"며 "남녀별·지역별·계층별을 떠나 부당하고 불합리한 차별을 받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성의 입장에서도 여성이라고 특별히 배려받는 기분이 좋지 않고, 여성 우대 등을 바라지 않는 것 같다"라며 "다만 (정책이) 더 섬세해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실 여부를 떠나 여성 할당제를 폐지하자는 주장을 하는 사람이 생겨난다”며 “비효율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면을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에, 고민 끝에 여성가족부를 폐지하자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지난 9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되는 것처럼 남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것도 옳지 않다”며 여성가족부를 평등가족부나 성평등가족부로 바꾸고 일부 기능을 조정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차별금지법에 대해서는 여전히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다. 이 후보는 “합리적 근거 없는 불합리한 차별을 없애는 것이 우리의 미래를 보장하는 길이라 생각하고 우리 국민 대다수도 그렇게 생각한다”며 “그래서 난 차별금지법은 필요하고 해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또 이 후보는 ”(차별금지법이) 100%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것은 분명한 현실”이라며 “충분히 논의하고 의견을 수렴해가면 우리가 추진하는 합의에, 전원 합의가 아니더라도 최소한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8일 한국교회총연합회(한교총)를 방문한 자리에서 “일방통행식 처리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차별금지법과 관련해서는 민주당도 이 후보와 발을 맞추고 있다. 차별금지법을 대표 발의한 민주당 법사위 간사 박주민 의원과 이재명 캠프 여성미래공동본부장 권인숙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어가며 올해 정기국회 내 차별금지법 처리를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이 후보 발언 이후 속도 조절에 나선 모양새다. 차별금지법 소관 상임위인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9일 법 심의 기한을 2024년 5월 29일까지 연기하는 데 합의했다. 21대 국회 임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으로 사실상 차별금지법 처리를 포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