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각국 정상들이 보낸 ‘노태우 조전’… 유족 측 “정부, 3일간 비공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11-02 15:07:59 수정 : 2021-11-02 15:07:5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외교부 측 “받은 조전, 모두 청와대에 전달”
지난달 2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에 무궁화대훈장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각국 정상들이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 조전을 보냈지만, 정부가 이같은 사실을 뒤늦게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는 유족에게도 바로 조전을 전달하지 않았다.

 

2일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 일본, 태국, 쿠웨이트, 바레인, 헝가리, 과테말라, 몰디브, 세이셸, 가봉 등 10개국이 노 전 대통령에게 조전을 보냈다.

 

시 주석은 노 전 대통령이 별세하고 3일 뒤인 지난달 29일 “노 전 대통령이 한·중 수교와 양국 파트너십에 기여했다”는 내용 등이 담긴 조전을 우리 외교부에 전했다. 하지만 외교부는 유족을 포함한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다가 3일이 지난 1일 보도자료를 통해 조전 소식을 전했다. 그러면서도 각 조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메시지가 담겼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 유족 측은 “장례식을 거의 다 마치고 주한 중국 대사와 전화 통화를 하다가 조전이 왔다는 걸 알게 됐다”면서 “정부에 문의했더니 그제야 말해줬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외교부 측은 “받은 조전은 모두 청와대에 전달했다”며 “유족에게 ‘꼭 전해달라’는 요청이 따로 있지 않으면 외국 정부로부터 온 조전을 유족에게 반드시 전해드릴 필요는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유족 측은 시 주석의 조전에 “유족에게 위로의 뜻을 전해달라”는 당부가 있다는 주장이다.

 

노 전 대통령은 재임 중 소련이 붕괴하고 동구 공산권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북방 외교를 전개해 소련에 이어 1992년 중국과 수교를 맺었다. 한·중은 2022년 8월 수교 30주년을 맞는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달 28일 서울대병원에 마련된 노 전 대통령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기도 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한·호주 정상회담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한국 노태우 전 대통령이 서거하신 소식을 들었다.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에 대해 아무 대답을 하지 않았고, 애도 메시지 이외에 조문은 하지 않았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