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 제한 줄이고 지원시설 확충
단지 아우르는 통합 관리체계 마련
도로용량·녹지공간 등 확충도 담겨
“지역 산업생태계 전반 활성화 기대”
서울 구로·금천 일대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지원시설을 확충해 ‘융복합 혁신 도심산업단지’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지난달 28일 G밸리에 대해 복합시설 용지계획과 개발실시계획 등을 포함한 국가산업단지계획 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고 1일 밝혔다. 1960년대에 국내 최초 수출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된 G밸리는 부지 면적 192만2261㎡에 입주기업 1만2000여개사, 종사자 14만여명이 모인 서울 최대 산업단지다. 민간 자체 개발을 통해 점차 첨단지식산업단지로 변화했지만, 그에 상응하는 녹지 및 보행환경, 기반시설, 기업 및 종사자 지원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 국가산업단지계획 변경은 G밸리 준공 이후 공간에 대한 계획적 관리체계가 미흡했던 점을 고려해 추진됐다. 이를 위해 시는 관리 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간, G밸리 입주기업, 자치구의 의견을 수렴했다. 향후 세부 계발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다.
국가산업단지계획은 기존 G밸리에 부족했던 산업교류 혁신 공간과 기업 및 종사자 지원시설, 도로 용량, 녹지공간 등을 확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산업 간 융복합 촉진을 위해 업종 제한은 최소화했다.

계획에 따르면 시는 이용도가 낮은 공공용지와 역세권 내 노후(30년) 민간 공장부지 총 13곳을 전략거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전략거점을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해 산업 및 지원 시설이 함께 입지할 수 있는 복합용지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했다. 거점 개발 시 공공부지는 연면적 30% 이상을 연구개발센터, 창업지원시설, 컨벤션, 산업전시장, 공유오피스 등 ‘산업교류 혁신지원 공간’으로 쓰도록 했다. 민간부지는 개발이익을 환수해 산업혁신 지원공간을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새롭게 확보되는 혁신 지원공간에 중앙부처 산업지원사업을 유치하거나 서울시의 자체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용적률 계획은 기존 개발지와의 형평성, 민간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현재 건축법에 적용되는 용적률 인센티브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녹지 확대를 위해 전략거점은 부지면적의 15% 이상에 공원형 공개공지를 조성하고, 단지 내부 도로 용량 확대를 위한 보·차도형 전면공지 설치, 지역 및 입주기업을 위한 커뮤니티 설치 등 공공성 확보를 전제로 했다.
G밸리 단지 주요 가로변에는 카페 등을 권장용도로 지정했다. 교통체계도 개선하도록 했다. G밸리 내부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3∼4차로를 5∼7차로로 늘리고, 경부선으로 단절된 2, 3단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지하차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와 보행자 우선가로 조성 등 보행친화적 도로 환경 개선도 포함됐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이번 고시를 통해 G밸리 전역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가 가능해졌다”며 “그간 G밸리에 부족했던 공간 등을 단계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G밸리 산업생태계 전반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