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 판축기술로 쌓은 풍납토성… 백제 최초 외래기술 적용

입력 : 2021-11-01 19:59:43 수정 : 2021-11-01 19:59:4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베일 벗은 축성 기술

문화재청 서성벽 복원지구 조사
판괴 축조·판축 구조물 첫 확인
판축, 사각형 틀에 흙 쌓아 다져
당시 축성 기술 중 가장 최신식
성벽내부 순환도로엔 바퀴 흔적

백제 한성도읍기 왕성으로 유력한 ‘풍납토성’의 비밀이 한꺼풀 벗겨졌다.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28일 한성백제박물관에서 ‘풍납토성 축성기술의 비밀을 풀다’ 학술대회를 통해 2021년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조사성과를 공개했다. 이번 학술대회 기조강연을 맡은 충남대 박순발 교수는 “금번 풍납토성 서성벽에 대한 조사는 한국은 물론 동아시아 고대 판축 축성술 이해에 일대 전환점이 될 수 있는 기회라 할 만하다”고 강조했다.

풍납토성은 현재 동·남·북벽과 서벽 일부만 잔존해 있으며 잔존 길이는 2.1㎞다. 하지만 유실된 것으로 추정됐던 서벽이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면서 풍납토성의 본 모습은 총길이 3.5㎞ 이상, 폭은 40∼50m, 높이 11m 이상의 거대한 규모로 추정할 수 있다. 풍납토성은 동시기 왕성으로 확인된 고구려의 국내성(2.6㎞), 신라의 월성(2.4㎞)보다 훨씬 크고 웅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17년부터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발굴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서성벽의 잔존양상, 축조방법, 성벽 진행방향 등을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축적했다.

백제가 풍납토성 축조에 채택한 기술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판축(版築)기술이다. 판축은 판축구조물이라 부르는 사각형(방형)의 틀을 짠 후 틀 안에 일정한 두께의 흙을 교대로 쌓아올려 다진 것을 말한다. 박 교수가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풍납토성 축성의 의의’에 따르면 판축 기술 자체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이고 풍납토성 축조 이전에 적용된 사례는 적어도 백제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풍납토성은 백제가 국가적인 대규모 공사에 최초로 외래 축성기술을 도입한 사례인 것이다.

당시 중국에서 성벽 축조에 적용된 기술에는 퇴축, 향축, 판축, 체축 등이 있는데 판축은 이 가운데서도 희소한 기술에 속한다. 주(周) 이전까지를 조기(早期)성이라 부르는데, 그 수는 2018년 기준 268기가 확인된다. 이들 가운데 판축기술이 적용된 것은 약 6%로 가장 적다. 체축(38%), 향축(18%), 퇴축(17%) 등에 비해 확연히 적은 수다. 판축기술이 적용된 사례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토축 성벽 축조기술 가운데 가장 발달한 형태이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체성부(성벽의 몸체 부분)에서 확인된 방형의 판괴

풍납토성 동성벽 절개 조사 이후 정연한 판축기술이 적용되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졌지만, 이번 조사로 그 증거가 드러나며 확실해졌다. 2021년 조사에서는 풍납토성 축성기법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단면 위주 성곽조사에서 벗어나 서성벽 구간에 대한 평면조사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성벽에서 판축단위인 방형의 판괴(版塊)가 연속으로 덧대어 축조된 모습과 판괴를 쌓아올리기 위한 판축구조물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는 판축토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로 이번 조사를 통해 풍납토성이 판축토성이었음이 확실하게 밝혀졌다.

또 성안에서는 서성벽 내부 순환도로에 해당하는 도로유구가 확인됐다. 성벽 내부 순환도로는 성문(城門)과 연결된 백제인들의 이동통로로, 도로면에서는 수레바퀴 흔적과 수레바퀴를 끌었던 소와 말의 발자국도 함께 드러났다. 서문(西門)을 통해 유입된 물자는 소와 말이 끄는 수레에 실어 풍납토성 곳곳으로 이동됐을 것으로 짐작된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2009년 미래마을 조사 보고서에서 풍납토성 남북 도로와 동서도로가 언급된 바 있지만 순환도로 유구는 처음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도로면에서 확인된 소발자국과 수레바퀴 자국

현존 도로 흔적은 너비가 6이지만 실제로는 더욱 넓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도로 측면에서는 폭 1∼1.2, 깊이 0.8인 구덩이가 드러났다. 도로 표면에는 수레바퀴 자국과 말·소 발자국이 남아 있었다. 수레바퀴는 크기가 1.2∼1.8이고, 도로와 접촉하는 면의 폭은 8∼15㎝로 추정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서성벽 순환도로는 서문터에서 시작해 성벽을 따라 미래마을 남북 도로까지 이어졌던 것 같다”며 “풍납토성 서문으로 들어온 물자는 소와 말이 끄는 수레에 실려 내부로 옮겨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로 측면 구덩이는 노면이 변하면서 보수작업과 재굴착이 빈번히 일어났던 것으로 짐작된다”고 덧붙였다.

서성벽 기초부에서는 멧돼지 어금니와 개 뼈를 담은 항아리도 출토됐다. 해당 유물은 건축물 기단부를 조성할 때 나쁜 기운을 진압하려고 묻는 ‘지진구(地鎭具)’로 판단됐다. 조사단은 서성벽이 한강과 인접한 자연 제방을 바탕으로 축조됐으며, 기장족 과실·가지속 종자·오이속·박속·삼·명아주속·괭이밥 등 다양한 식물로 지반을 튼튼히 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