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머리 부상 후 3주 지나도 두통 지속시 이 질환 의심해야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10-23 17:53:36 수정 : 2021-10-23 17:53:3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만성 경막하 혈종, 경막-지주막 사이 3주 이상 지난 출혈 고여 발생
특히 60세 이상, 가벼운 두부 외상 후 3주 지난 후에야 발견되는 병
기억력장애, 의식장애, 요실금 등 증상으로 치매·정신병·뇌졸중 오인
조기진단·발견·치료해야 예후 좋아…심하면 수술로 고인 피 제거해야
머리를 딱딱한 곳에 부딪힌 뒤 3주가 지나도 두통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된다면 ‘만성 경막하 혈종’을 의심해봐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머리를 딱딱한 곳에 부딪힌 뒤 3주가 지나도 두통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된다면 ‘만성 경막하 혈종’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 질환은 뇌를 감싸고 있는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3주 이상이 지난 출혈이 고여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 심한 두부 외상 직후에 잘 발생하는 질환인 ‘급성 경막하 혈종’과 달리 이 질환은 주로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비교적 경미한 두부 외상 후 3주 이상의 시간이 지나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급성 경막하 혈종은 해마다 10만 명당 1.72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70대에서는 10만 명당 7.35명으로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노년층이나 알코올 중독자에서는 뇌 위축이 있는 경우가 많고 경막과 연결된 교정맥의 울혈 및 확장으로 혈관의 긴장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고령에 따른 정맥 자체의 취약성 때문에 경미한 두부 외상으로도 교정맥이 쉽게 파열돼 만성 경막하 혈종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두부 외상이 만성 경막하 혈종의 주요 원인이지만, 가벼운 두부 외상에도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 절반 이상의 환자가 최근 외상의 병력을 기억하지 못한다. 특히 만성 알코올 중독자나 간 질환자,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고령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만성 경막하 혈종의 주요 증상은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두통 ▲구토 ▲유두부종 ▲한쪽 팔과 다리 마비 ▲언어장애 ▲보행장애 등이 있다. 노년층에서는 ▲성격 변화 ▲정신 착란 ▲기억력 장애 ▲의식 장애 ▲요실금 등 치매와 비슷한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많아 ▲노인성 치매 ▲정신병 ▲뇌졸중 등으로 오인되어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도 많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신경외과 김병섭 교수는 “점차 혈종의 양이 늘어나면 뇌 탈출을 일으켜 의식이 혼미해지고 편마비 증상이 진행돼 이런 경우 응급 수술을 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며 “두부 외상 후 3주 이상 경과해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하면 만성 경막하 혈종을 의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단은 일반적으로 뇌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로 이뤄지며, 필요한 경우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 출혈 유무나 정확한 출혈량을 확인하고, 서로 다른 시기에 발생한 출혈의 존재 유무와 출혈 사이에 피막의 발생 유무, 또 뇌와 다른 부위의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만성 경막하 혈종은 드물게 자연 치유가 됐다는 보고가 있지만, 혈종 양에 따라 주기적으로 CT 검사를 시행해 경과 관찰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며, 경련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항경련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혈종의 양이 많거나 경과 관찰하는 도중 혈종 양이 증가하면서 신경학적 이상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혈종이 가장 두꺼운 부위에 1~2개의 두개골 구멍을 뚫고 그 아래 뇌막을 열어 혈종을 제거한 뒤, 도관을 경막하 공간에 삽입하고 고정해 수일 동안 자연 배액 시키는 ‘천공배액술’을 시행한다. 

 

수술 전 의식이 명료한 경우 예후가 아주 좋은 편이나, 재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재수술을 실시하며, 이후에도 출혈이 반복되면 개두술을 통한 혈종제거술이 필요하다.

 

김 교수는 “만성 경막하 혈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머리 부분의 외상을 주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아스피린이나 플라빅스 등 ‘항혈전제’나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노년층에서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을 방문해 정밀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