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 시행까지 2∼3주 남아
중국인, 확진 숨기고 요양원 취업
종사자·입소자 등 52명 집단감염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완료율 상승에 따라 단계적으로 방역조치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일상회복을 고민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률이 85%를 넘으면 방역조치 없이도 전파력이 높은 델타 변이의 확산까지 차단할 수 있다며 접종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14일 브리핑에서 “접종완료율 85%가 되면 집단면역은 약 80%에 이르게 되고, 델타 변이조차도 마스크 착용이나 집합 금지·제한 없이 이겨낼 수 있는 토대가 된다”고 밝혔다.
백신접종률이 상승할수록 전파가 차단돼 감염재생산지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이론적으로 감염재생산지수가 2일 경우 55%가 접종한다면 거리두기가 없어도 바이러스가 확산하지 않고, 접종률이 70%에 이르면 감염재생산지수 3을 이겨낸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재생산지수는 5로, 접종완료율 85% 이상이 되면 1 이하로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권 제2부본부장은 “백신은 강력한 가장 강력한 ‘개인적 거리두기’”라며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물리적으로 사람 간 접촉을 막는 거리두기 조치를 시행해왔다면, 여기에 백신 접종이 포함되면서 거리두기의 효과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권 제2부본부장은 방역조치를 완화해도 백신 접종 효과로 확진자 감소세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940명으로, 100일째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연휴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사라진 뒤 상승했지만, 지난주 목요일(2427명)보다 발생 규모는 줄었다. 권 제2본부장은 “전반적으로 접종 완료율이 올라가고, 방역조치를 순차적으로 조정하면 확진자 급증 사태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전국민 70% 백신 접종완료를 단계적 일상회복의 기본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다. 이달 말 목표치에 도달하면 면역효과가 나타나는 기간까지 고려해 다음달 초에는 방역체계를 중환자·사망자 수 관리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재택치료를 확대하면서 치료가 필요한 확진자는 감염병전담병원을 활용해 단기 진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는 접종완료율 70%, 80%, 85%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역규제를 완화하는 안을 전날 코로나18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 제시한 것으로 전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중심으로 방역완화 방법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어떤 주기, 어떤 기준으로 완화할지, 또 주된 방향성을 무엇으로 잡을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며 “방역수칙을 단계적, 점진적으로 완화하고, 최대한 포용적으로, 국민과 함께 결정해 나간다는 원칙”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집단감염은 밀접·접촉이 많은 집단을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경기 남양주시 요양병원에선 중국 국적의 간병인이 확진 사실을 숨기고 취업한 것으로 확인돼 비상이 걸렸다.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중국 국적의 A씨는 지난 7일 서울 영등포보건소에서 전화로 확진 통보를 받았으나 잠적했다. 추적 결과 A씨는 확진 통보를 받고도 남양주 요양병원에 확진 전 받았던 음성 확인서로 취업해 간병일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지난 12일에야 확인됐다. 이날 0시 기준 요양병원 종사자 15명, 입소자 37명이 확진됐다. 43명은 돌파감염 사례다.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주민, 종사자 등 43명이 집단감염됐다. 역학조사 결과 공용 엘리베이터와 경비원, 미화원 등이 이용하는 지하 휴게실에서 감염이 확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