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오토바이에 탑승하면 사고 발생 시 사망률이 2.9배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14일 2019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발표했다. 질병관리청이 이번 조사를 통해 응급실에 내원한 27만7372명의 자료를 수집한 결과 13%인 3만6084명이 입원을 했고 2630명은 사망했다.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남자가 58.2%, 여자가 41.8%였다. 손상은 의도치 않은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91.6%였고, 자해·자살, 폭력·타살과 같은 의도적 손상 환자가 8.1%였다.
손상기전으로는 추락 및 낙상이 33.2%로 가장 많고, 둔상(부딪힘) 21.3%, 운수사고 15.4%, 관통상 11.0% 등이다.
운수사고를 보면 손상환자 중 안전벨트 착용자는 73.0%, 오토바이 안전모 착용자는 68.2%로 70% 내외였으나, 자전거 안전모 착용률은 18.6%로 매우 낮았고 안전의자 착용률도 50% 미만이었다.
안전벨트를 착용한 환자의 입원율과 사망률은 각각 15.1%, 0.6%였으나 미착용자는 18.4%, 1.5%로 더 높았다.
오토바이 안전모 착용자의 입원율 및 사망률은 각각 28.5%, 1.6%였으며, 미착용자의 입원율 및 사망률은 39.3%, 4.6%로 각각 안전모 착용자보다 1.4배, 2.9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해·자살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만226명이었으며 폭력·타살 손상환자는 1만2314명이다. 자해·자살과 폭력·타살 손상환자 중 20대가 각각 24.6%, 24.4%로 가장 많았다.
자해·자살 시도 이유는 정신과적 문제(36.5%), 가족이나 친구와의 갈등(23.9%), 건강문제(6.9%), 경제적 문제(5.0%), 직장·학교 문제(4.2%) 등이었다.
자해·자살 손상은 음주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36.9%로 전체 손상환자(10.0%)보다 높았다. 입원율과 사망률은 비음주 상태에서 시도한 경우 각각 37.3%, 7.8%로, 음주 상태 입원율과 사망률 31.0%, 2.0%보다 더 높았다.
폭력·타살 손상은 본인 혹은 가해자가 음주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50.9%로 비음주(41.1%)보다 높았다.
중독환자의 경우 전체의 3.3%였지만 이중 57.2%는 여성이고 의도적 손상이 67.6%로 나타나 전체 손상환자의 특성과는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손상 발생에 따른 피해의 심각성과 위험요인을 밝혀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부각하기 위한 조사감시사업을 내실 있게 수행하고 이를 활용한 예방관리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