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행 강화된 거리두기가 2주간 다시 연장될 전망이다.
방역당국은 확산세는 한풀 꺽인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 유행이 정점에 달했다고 속단하긴 이르며 향후 환자 발생 추이를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오는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예고한 상황에서 향후 2∼3주가 사실상 단계적 일상회복의 1단계라고 보고 큰 틀에서 현행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 그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14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1940명을 기록했다.
전주와 비교하면 다소 줄어든 양상으로 비수도권도 417.9명을 기록하며 직전 주(516.1명) 대비 98.2명(19.0%) 줄었다.
이처럼 전국적으로 확진자 증가세가 한풀 꺾인 모습을 보이지만 이동량은 여전히 불안한 수준을 오르내리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지난 한 주간의 이동량(2억3873만건)은 코로나가 유행하기 전인 재작년 같은 시기의 이동량(2억5452만건)의 93.8%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한다”며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과 백신 접종률 제고에 따라 일상 회복에 기대감이 커지는 등의 효과로 이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도 “아직 환자 발생이 정점을 지났다고 판단하기는 어렵고, 조심할 부분이 많다”며 “감소세가 유지되는 것은 다행스럽지만, 여전히 확산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특히 동절기는 바이러스의 활성이 잘 보존되고 환경 적응성이 높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유행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더해 단계적 일상 회복과 함께 사람들의 활동량이 증가할 수 있어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5일 마지막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다.
손 반장은 전날 “이번 조정안에서 고민하는 부분은, 거리두기 이후 연이어 진행될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체계 전환 과정을 앞두고 이번 ‘징검다리 기간’에 어떤 방역 조치를 조정할지 여부"라며 "어떤 부분을 완화할지는 오늘, 내일 논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전면적인 방역 체계 전환을 앞둔 만큼 현행 거리두기는 큰 틀에서 다시 한번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단계적 일상회복 체계가 11월 둘째 주부터 가동될 전망이어서 현행 거리두기 조치가 2주보다 더 길게 연장될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이번에도 2주 연장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오후 생활방역방역위원회(생방위) 회의에서도 2주 연장 쪽으로 의견이 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