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엔 ‘달고나’ 판매점도 생겨… 한 번에 25위안

중국이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특수를 누리고 있다. 중국은 한한령(한류 제한령)으로 한국 영화나 드라마 방영을 막고 있고, 넷플릭스도 역시 불법으로 봐야한다. 하지만 세계 최대 잡화 공급처로 불리는 저장성 이우의 제조업체들은 마스크 등 ‘오징어 게임’ 관련 상품 수요 폭증으로 전력 제한 조치에도 자체 발전기를 돌려가며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13일 관영 글로벌타임즈 등에 따르면 이우의 한 장난감 도매점은 이달 들어 하루 1만개 넘는 ‘오징어 게임’ 마스크를 팔았다고 밝혔다. 이중 80%는 수출 물량이다.
업주 펑모씨는 “전력 제한이 없었으면 더 팔았을 것”이라며 “생산량이 제한적이라 대부분은 예약 판매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드라마 속에서 게임 참가자들을 감시하는 ‘일꾼’이 쓰는 동그라미와 세모, 네모 등 모양의 마스크는 각각 3.8 위안(약 700원)에 팔린다. 재고가 있는 마스크는 5위안(약 920원)으로 더 비싸다. 아마존에서 이들 마스크의 소매 가격은 12∼17달러(약 1만4000∼2만원)다.
특히 핼러윈을 앞두고 마스크의 수요는 폭증하고 있다. 한 업체가 제작하는 ‘오징어 게임’ 마스크 제작용 주형 가격은 5000위안에서 1만5000위안으로 3배로 뛰었다.
업체 측은 주문이 대부분 미국과 한국에서 들어오며, 내년 3월까지 주문 예약이 돼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전력 제한 공급 정책으로 이우 공장들 역시 생산에 차질을 빚자 일부 제조업체는 자체 발전기를 돌려 생산을 하고 있다.
상하이에서는 오징어 게임의 ‘달고나’ 판매점이 생겼다. 번역을 잘못해 ‘오징어 게임’을 ‘낙지 놀이’로 잘못 썼지만 드라마 인기에 편승에 커피 가판점에서 덤으로 ‘달고나’ 판매를 시작했다. 가판에선 25위안(4600원)에 ‘달고나 게임’을 할 수 있다.

또 중국의 젊은이와 청소년들이 많이 이용하는 틱톡의 중국판인 더우인에선 드라마 주요 장면의 일부를 올린 영상부터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해 만든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등이 올라와 있다. 드라마 속 노래들도 인터넷 상에서 배경음악으로 많이 활용된다.
넷플릭스 서비스가 차단된 중국은 가상사설망(VPN)을 통한 우회접속 방식으로 넷플릭스나 한국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중국에서는 한국 드라마 등 해외 드라마와 영화를 불법 유통하는 스트리밍 사이트가 많아 정부가 막는다고 해도 중국인들은 ‘오징어 게임’ 등 인기 드라마나 영화 등을 볼 수 있다.
장하성 주중 한국대사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오징어 게임’이 중국의 60여개 불법 사이트에서 유통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