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영홈쇼핑, ‘안전성 결함’ 제품 늑장 리콜…사측 “관리 감독 더 철저하게 할 것”

입력 : 2021-10-13 09:53:57 수정 : 2021-10-13 09:53:56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공영홈쇼핑 측 “수년 전 홈쇼핑 방송 아닌 온라인몰에서 발생한 일
현재 리콜 조치되었고 관련 인력을 보강해 모니터링을 더욱
철저하게 진행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공영홈쇼핑이 소비자 안전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수차례 판매한 뒤 리콜 조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경향신문이 보도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영홈쇼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공영홈쇼핑이 내린 리콜 조치는 총 10건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1건, 2018년 4건, 2019년 2건, 2020년 2건, 2021년 1건이었다. 리콜된 상품의 총 판매금액은 25억4000만여원에 달했다. 중소기업과 농축수산업의 판로 지원을 위해 2015년 설립된 공영홈쇼핑은 2018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리콜된 제품 중에는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제품도 포함됐다. 지난 해 2월 온라인몰을 통해 판매된 ‘부착형 한지 리필 마스크 필터’는 제조사가 시험성적서 테스트 결과만으로 인증을 받은 것처럼 상품 포장에 기재해 문제가 됐다. 이 상품은 8억6000만원어치 판매됐다. 공영홈쇼핑은 같은 해 3월 언론 보도를 통해 문제를 인지하고 전량 회수하고 환불 조치했다.

 

2018년에 판매된 다슬기 잡기용 어린이 제품은 플라스틱 가방끈에서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172배 초과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로, 노출될 경우 간이나 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약 한 달 간 판매된 이 제품은 국가기술표준원의 리콜 명령을 받은 후에야 회수 후 교환·환불 조치됐다.

 

2016년부터 방송을 통해 판매된 베개는 판매된지 2년 만에 리콜 조치됐다. 2018년 11월 해당 제품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나온 후 회수·환불 조치됐다.

 

중기부 산하기관이 ‘공적 검증’을 방기해 안전성에 결함이 있는 제품을 판매한 뒤 언론보도 등을 통해 문제가 드러난 뒤에야 뒤늦게 리콜 조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13일 세계일보에 "이미 수년 전에 홈쇼핑 방송 아닌 온라인몰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며 "현재 모두 리콜 조치되었고, 이후 관련 인력을 보강해 모니터링을 더욱 철저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