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왜 ‘오징어 게임’ 같은 콘텐츠 못 만드나”… 국감서 난타당한 KBS 사장

입력 : 2021-10-12 21:00:00 수정 : 2021-10-12 20:43: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양승동 KBS 사장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 국정감사에 출석,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적 흥행 성공으로 이제는 글로벌 트랜드가 된 넷플릭스의 한국 콘텐츠 ‘오징어 게임’을 두고 국회의원들이 국정감사장에서 “왜 KBS는 그런 콘텐츠를 생산하지 못하느냐”고 몰아붙였다.

 

12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 의원들은 양승동 KBS 사장에게 ‘오징어 게임’과 같은 한류 콘텐츠를 생산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양 사장에게 ‘오징어 게임’을 봤는지 묻고는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KBS가 그런 역할을 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작품은 우리가 만드는데 큰돈은 미국(넷플릭스)이 싹 다 가져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KBS는 왜 ‘오징어 게임’ 같은 콘텐츠를 생산하지 못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양 사장은 “‘오징어 게임’은 KBS 같은 지상파가 제작할 수 없는 수위의 작품이다. KBS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KBS와 KBS계열사가 공동 출자해 설립한 드라마제작사 몬스터유니온을 언급하며 “(몬스터유니온을) 대형 스튜디오로 키우고 지상파TV와 온라인 콘텐츠를 구분해 제작하는 방식은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국내 콘텐츠 제작자들이 넷플릭스 등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 종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은 ‘오징어 게임’과 ‘D.P.’ 등 국내에서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를 언급하며 “최근 우리나라 콘텐츠가 외부 투자를 받아 만들어지면서 자체 역량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했다.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도 넷플릭스가 막대한 제작비를 투자하는 대신 흥행에 따른 수익을 모두 가져가는 상황을 언급하며 “미디어 산업의 넷플릭스 종속화”라고 규정했다.

 

양 사장은 이에 “역시 그 부분을 많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KBS 등 지상파 3사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OTT 플랫폼) 웨이브의 콘텐츠 경쟁력이 앞으로 발전할 것이기에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하면서 장기적으로 한류 콘텐츠를 육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과거 대한민국의 콘텐츠와 예능을 주도했던 KBS에 참신한 간판 프로그램이 없다는 윤영찬 의원의 지적에 양 사장은 “2000년 전후 한류 확산에 큰 역할을 했던 것처럼 다시 한 번 그런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