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 오접종 272건 중 70% 가까운 189건이 한 위탁의료기관에서 담당자 실수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시는 12일 코로나19 일일 브리핑에서 지난 6월 위탁의료기관 백신 현황 점검에서 위탁의료기관 한 곳의 백신 담당자가 접종 대상자 189명에게 권고 투여량보다 적은 양의 백신을 접종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국감 자료에서 부산의 백신 오접종 사례가 272건으로 경기도(594회), 서울(332회)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지적되자 시가 이에 대해 답변하면서 알려졌다.
과소 접종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AZ)였고, 실제 투여량은 권고량 0.5㎖보다 0.01∼0.1㎖ 정도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시는 해당 의료기관의 접종 담당자가 습관적으로 규정보다 적은 백신 용량을 주사기로 옮겨 과소 접종이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당시 위탁의료기관 정기 점검에서 백신 잔량과 실제 접종자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이 사실을 확인했다.
부산시는 백신 과소투여가 백신 접종 위탁계약을 해지할 만한 사안은 아니라고 보고 해당 의료기관에 백신 오접종 재발 방지 교육을 강화하도록 했다.
이후 이 의료기관에서 백신 오접종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시는 전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백신 접종 담당자가 투여 용량을 착각해 권고량보다 미세하게 적은 용량을 접종한 것"이라며 "백신 과소투여는 부작용보다는 면역 형성 등에 문제를 미칠 수 있지만, 면역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투여량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규모가 큰 위탁의료기관에서는 비교적 백신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지만 규모가 작은 곳은 한 명이 여러 종류의 접종을 담당해 과소접종 문제 등이 생기기도 한다"며 "백신 오접종을 막기 위해 위탁의료기관 점검 횟수를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에 따르면 부산의 백신 오접종 272건 중 접종용량 오류가 194건으로 가장 많았고, 백신 종류와 보관 오류 63건, 접종 시기 오류 10건 등이다.
전국에서 백신 오접종으로 인한 이상 반응을 신고한 건수는 40건이지만 피해 보상이 확정된 것은 아직 한 건도 없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