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공급 해소 위해 제도 개선
‘재개발 6대 규제완화책’ 가동
실리주의 각인… 4선 도전 관측
향후 시의회와 관계 회복 과제

오세훈(사진) 서울시장이 4·7 보궐선거 당선 이후 취임 6개월을 맞았다. 그동안 몸을 낮추고 ‘협치’에 초점을 맞춰 왔다면, 이제부터는 ‘오세훈표 실리주의’ 노선을 각인시키며 본격적인 4선 시장 도전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오 시장이 존재감을 드러낼수록 시의회와는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커 예산이나 시책 추진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서울시 관계자들에 따르면 오 시장은 취임 후 반년이 지나면서 자신만의 색깔을 내기 위한 과감한 움직임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박원순 전 시장 시절 진행됐던 여러 사업을 수술대에 올렸다. 지난 10년간 1조 가까운 세금을 투입했지만 제대로 된 성과 검증 없이 운영된 민간 위탁·보조금 사업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본다는 취지다.
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사회주택 공급사업, 베란다형 태양광 발전사업, 청년활력공간 무중력지대, 플랫폼창동61, 노들섬 복합문화공간 등 27건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이다. 시는 이 평가 결과에 따른 사업별 후속조치를 이달 중순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오 시장 취임으로 가장 큰 관심을 모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에도 변화의 실마리가 나타나고 있다. 시는 주택 공급에 숨통을 틔우기 위해 신속통합기획 등 ‘재개발 6대 규제완화책’을 가동했다. 오 시장은 최근 “10년간 멈췄던 재개발·재건축 정상화라는 관점에서 바꿀 수 있는 모든 것을 바꾸고 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오세훈표 서울’의 핵심 설계도에 해당하는 ‘서울비전 2030’은 교육·복지·일자리·주거 부문 공정 가치를 강조한 중장기 비전을 담았다. 무너진 계층이동 사다리를 복원하고, 서울을 세계 5위 도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주요 목표다. 계층이동 사다리 복원 정책에 강력한 의지를 피력해 온 오 시장은 “내일은 더 나아질 거란 희망을 만들어드리는 것이 시장으로서 기본 책무”라고 말했다.
오 시장에게 악화할 대로 악화한 시의회와의 관계 회복은 과제로 남아 있다. 오 시장이 지난달 시정질문 도중 퇴장한 일 등으로 시의회와의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그동안 오 시장을 강하게 비판해 온 변호사 출신 김호평 의원이 최근 서울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으로 선출된 것도 악재다. 오 시장이 다음 임기에서 ‘서울비전 2030’ 등 사업을 제대로 펼치려면 예산안 통과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이를 관철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다만 재선 가도의 리스크로 꼽혔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가 모두 무혐의 판결을 받은 점, 오 시장 취임 이후 공석 상태였던 여러 산하 기관 인사가 마무리되고 있는 점 등은 시정 운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