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가 中企… 가동률 68% 그쳐
경기도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대다수는 인력 확보와 교통여건 개선 등 정책적 지원을 가장 시급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에서 열린 산업단지 특성화 전략 및 정책 방향 수립 보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이번 조사는 도가 한국기업데이터㈜에 의뢰해 지난 6월3일부터 9월8일까지 도내 일반산업단지와 도시첨단산업단지의 1만30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방문 면접 형식으로 진행됐다.
대상 업체 1만3628개 중 가동 중인 업체는 9054개로 가동률은 68.2%에 그쳤다. 또 입주기업 가운데 자산총액 50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은 97.1%에 달했다. 반면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중견기업과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대기업은 각각 2.3%, 0.5%에 불과했다.
산업단지 내 전체 고용인원은 18만5290명으로, 이 중 내국인 생산직 노동자가 6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국인 생산직 노동자(5.6%), 연구·개발직(8.8%), 기타 관리직(24.3%)의 수치를 보였다.
이 밖에 산단 내 사업장 소유형태는 ‘자가’가 63.7%로 과반을 차지했고, ‘임차’도 36.3%나 됐다.
조사대상 기업 중 1000여개를 표본 할당해 시행한 정책 수요조사에선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분야로 ‘인력확보’와 ‘교통 및 주차여건’이 꼽혔다. 산업단지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컨트롤 타워’와 ‘노동자 삶의 질 향상 센터’, ‘인력양성 센터’, ‘장비유지보수센터’ 등의 설립 필요성도 제기됐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달부터 산업단지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경영자협의체 구성 등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