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들 다양한 단체·기관서 활동
‘고난의 행군’ 시기 혁명자금 바닥
마약 생산기지 만들어 현금 벌어
천안함 폭침 金 특별지시로 작전”

“1990년대 초 북한 공작원들이 청와대에서 5~6년 근무한 뒤 무사히 북한으로 복귀한 일도 있습니다.”
북한에서 30년 동안 첩보조직에서 근무한 뒤 최고위층까지 올랐다는 탈북자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북한의 실상에 대해 밝혔다. 11일 BBC방송에 따르면 탈북자 김국송(가명)씨는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북한 첩보기관에서 활동했으며, 대남공작과 암살 등 특수임무를 맡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2014년 탈북해 서울에 거주하면서 국가정보원 산하 기관에서 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정원은 김씨의 인터뷰가 알려진 뒤 이같은 사실을 정면 반박했다.
김씨는 BBC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이전엔 청와대까지 첩보요원을 침투시켰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1990년대 초반에 북한 첩보요원이 청와대에서 5~6년 근무한 뒤 무사히 복귀해 노동당 314 연락사무소에서 근무했다”며 “북한 공작원들이 한국의 다양한 시민단체와 주요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BBC는 김씨의 주장을 전하면서도 이같은 주장의 사실 여부는 모두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자신이 북한에 있을 때 마약을 만들어 팔고, 이를 통해 벌어들인 현금을 ‘혁명 자금’으로 김정은 당시 국방위원장에게 전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북한에서 마약을 집중적으로 생산한 때는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라며 “그 시기에 김정일의 혁명 자금이 바닥을 보이고 있었는데 내가 세 명의 외국인을 북한에 데려와 마약 생산기지를 만들어 운영했다”고 했다. 김씨는 북한이 숙련된 해커 6000명으로 구성된 군대를 창설해 사이버전에 나서고 있다고도 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씨는 “천안함이나 연평도 작전에 관여한 적은 없지만 정찰총국 간부들 가운데서는 비밀이 아니고 (북한 소행으로) 그렇게 알고 있는 문제”라며 “김정은 특별 지시에 따라 공작되고 이행된 군사 성과”라고 주장했다.

국정원은 BBC의 ‘북 첩보요원 90년대 청와대 근무’ 보도에 대해 즉각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기자단 공지를 통해 “보도와 관련, 국정원은 탈북민 신상·주장에 대해 확인해 드릴 내용이 없다”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김씨의 인터뷰 내용은 차후 내용의 진위를 두고 논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