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중산층 자영업은 12만가구 줄어
한경연 “소득계층 하향이동… 지원책 필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영업자 가구의 저소득층이 증가하고 중·고소득층은 줄어들면서 소득계층의 하향이동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1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 데이터 분기별 자료(비농림어가, 1인 이상 가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전후 가구주 직업별 소득계층 비중 변화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자영업자 가구의 소득계층별 비중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분기에는 고소득층(중위소득의 200% 초과) 13.1%, 중산층(중위소득의 75∼200%) 61.0%, 저소득층(중위소득의 75% 미만) 25.9%로 구성됐다. 반면 올해 2분기에는 고소득층 11.8%, 중산층 59.8%, 저소득층 28.4%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후 고소득층과 중산층 비중은 각각 1.3%포인트, 1.2%포인트 감소한 반면 저소득층 비중은 2.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고소득층과 중산층이 각각 4만7588가구, 7만4091가구 감소했다. 저소득층은 6만4577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경연은 “자영업자 가구에 관한 이번 분석 결과는 올해 2분기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7월 이후 나타난 4차 대유행의 영향을 고려하면 자영업자의 상황은 더욱 악화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근로자 가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비중이 줄고 중산층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자 가구의 경우 2019년 2분기에는 소득계층별로 고소득층 11.4%, 중산층 67.7%, 저소득층 20.9%로 구성됐으나 올해 2분기에는 고소득층 9.8%, 중산층 70.4%, 저소득층 19.9%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근로자 가구의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비중이 각각 1.6%포인트, 1.0%포인트 감소한 반면 중산층 비중은 2.7%포인트 증가한 셈이다.
직업별 저소득층 비율 및 격차를 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분기에는 자영업자(25.9%)와 근로자(20.9%) 가구의 저소득층 비중 격차가 5.0%포인트 수준이었으나 올해 2분기에는 8.5%포인트(자영업자 28.4%, 근로자 19.9%)로 더 확대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보편적 지원 대신 코로나19 방역 조치 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에게 세금 감면, 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