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대북정책 지지’ 미국인, 1년 새 31%→18% 줄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10-11 15:12:36 수정 : 2021-10-11 15:12: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북한 우선순위, ‘탈레반 집권’ 아프간에 밀려나
“한·미동맹 개선해야” 주장, 22%→27%로 늘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취임 초 미 국무부 청사를 방문해 새 정부 외교정책 기조를 설명하는 모습. 왼쪽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세계일보 자료사진

미국의 대북정책을 지지하는 미국인이 지난해 31%에서 올해 18%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미 워싱턴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가 미국인 1122명을 조사한 결과 현재 미국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자는 18%로 집계됐다. 지난해 31%보다 13%포인트 줄어든 수준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트럼프 행정부 대북정책보다 지지를 받지 못한다는 의미다.

 

현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지난해 39%에서 올해 33%로 줄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지난해 30%였던 것이 이번엔 49%로 19%포인트나 급증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실용적 외교를 앞세운 대북 정책이 여론조사 결과만 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괄타결 방식이나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전략보다 미국인의 이해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의 ‘조건 없는 대화’ 요구 등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론조사에서 북한의 핵포기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응답자는 86%로 지난해 84%와 비슷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북한에 코로나19 관련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47%에서 올해 51%로 늘었다. 다만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지지 자체는 같은 기간 52%에서 48%로 줄었다.

 

응답자들은 미국의 주요 외교정책 과제로 지난해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아프가니스탄을 순서대로 꼽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중국, 러시아, 아프간, 북한, 이란 순이었다.

 

한·미동맹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22%에서 올해 18%로 줄었다. 반면 일부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은 22%에서 27%로 늘었다. 한·미의 군사적 동맹이 미국에 이익이 된다는 응답은 64%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한국이 전 세계에서 영향력이 큰 국가라는 응답은 42%에서 34%로 줄었다. 한국의 코로나19 대처에 대해서도 지난해엔 54%가 후한 점수를 줬지만, 이번엔 42%로 줄었다.

 

한국에 호의적 입장을 보인 응답자는 지난해(66%)와 올해(65%) 비슷했는데 이 중 ‘매우 호의적’이라는 답변은 23%에서 15%로 줄고, 호의적이라는 응답이 43%에서 50%로 늘었다.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
  • 박보영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