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고용부 공동조사단 구성
“현장 실습생 제도 개선방안 마련”

전남 여수의 한 요트 선착장에서 현장 실습을 하던 고교생이 잠수 작업 도중 숨진 사고에 대해 진상 규명 요구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철저한 원인을 규명하고 실습 제도 개선 방안 마련에 나섰다.
교육부는 10일 여수 고교생의 현장실습 사망사고에 대해 전남교육청과 함께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관련 사항을 파악하고 향후 현장 실습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완 등 후속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동조사단에는 교육부와 전남 교육청 관계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감독관 등 노동 및 현장실습 관련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매년 실시하는 현장 실습에 대한 중앙단위 지도점검을 예정보다 앞당기기로 했다.
앞서 여수 한 특성화고 3학년생인 홍정운군은 지난 6일 오전 10시42분쯤 현장실습장인 여수 웅천친수공원 요트 선착장에서 요트 바닥에 붙은 따개비를 제거하는 잠수 작업을 하다 숨졌다. 당시 현장 실습 협약서에는 실습생은 주로 선상에서 항해 보조를 하거나 손님들을 상대로 접객 서비스 등을 하게 돼 있지만 홍군은 잠수 자격증은커녕 수영조차 못하지만, 잠수에 투입된 것으로 여수해경 조사에서 드러났다.
여수 현장실습생 사망사고 진상규명 대책위원회와 특성화고등학생권리연합회 등은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잇달아 열고 “되풀이되는 현장 실습생 산재 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현장 실습생 사고는 좀처럼 쉽게 끊이질 않아 2018년에는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현장 실습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해는 대전 특성화고 학생이 현장실습 중 성추행·폭행당하는 사건 등이 잇따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