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화천대유’ 수백억 이득설에
“100% 민간개발, 공영으로 바꿔
사업 이익 성남시에 돌린 것” 해명
컨소시엄 제치고 ‘성남의뜰’ 선정
野 “실제 소유주 누군지 수사해야”

여권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과거 성남시장 재직 시절 진행한 ‘대장지구 개발사업’의 특혜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이 지사는 “(부동산투자사업의)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해 벌어진 일”이라며 “100% 민간개발 사업을 공영개발 방식으로 돌려 사업 이익을 먼저 성남시에 돌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지사는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네거티브를 넘어선 흑색선전”이라며 “대장동 개발은 민간 개발업자들의 특혜를 막고 5503억원을 시민 이익으로 환수한 모범적인 공익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일각에선 이 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추진했던 성남 분당의 대장동 개발사업으로 특정 민간업체가 수백억원대의 이득을 챙겼다며, 초기 자본금 5000만원(3억1000만원으로 증액)에 불과한 신생업체가 어떻게 이 사업에 참여해 500억원 넘는 배당금을 받아 갔는지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92만㎡에 5900여 가구가 예정된 대장지구는 판교신도시와 가까워 ‘남판교’로 불리는 알짜 지역이다. 이 지사는 시장이던 2014년 “공공의 역할을 포기할 수 없다”며 민간개발이던 이 사업을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민간과 공동으로 진행하도록 틀을 바꿨다.
당시 공모에 참여한 하나은행 컨소시엄은 산업은행 컨소시엄, 메리츠증권 컨소시엄을 제치고 선정됐다. 이들은 ‘성남의뜰’이란 특수목적법인(SPC)를 만들어 사업을 진행 중이다. 페이퍼컴퍼니에 불과한 이 SPC의 손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천대유’란 신생 자산관리회사(AMC)로, 컨소시엄에 5000만원을 출자하고 3년간 배당금으로만 577억을 가져간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화천대유는 부동산 관련 경력이 없는 경제지 기자 출신 A씨가 100% 지분을 보유한 직원 16명의 신생업체로, A씨가 사업 참여 7개월 전 이 지사를 인터뷰한 기사를 쓴 것이 의혹을 키웠다. 이 지사와 화천대유가 관계가 있다거나, 이 지사의 아들이 화천대유의 종속회사에서 근무한다는 등 추측이 난무했다.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을 담당했던 B씨가 이 지사의 도지사 취임 이후 산하 경기관광공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사실도 쟁점이 됐다.
이에 이 지사는 “모두 거짓”이라며 “B씨는 지난해 말 건강상 이유로 사임했고, 담당자는 B씨였지만 계약내용은 내가 정했다”고 했다. 화천대유 측도 “하나·기업·국민은행 등 대형 금융사들이 주도한 컨소시엄에 위탁업체로 참여한 것 뿐”이라며 “배당액도 업계에선 큰 금액이 아니다. A씨는 주주일 뿐 경영에 참여하지 않아 잘 모른다”고 답했다.
대장지구 의혹은 이 지사의 기자회견을 계기로 정치 커넥션에서 법조계 인사들이 참여한 법조 커넥션으로 의혹이 옮아가는 양상이다. 화천대유에서 검찰 고위직 출신 변호사가 고문 변호사로 활동했고, 이 변호사의 딸도 최근까지 5년간 근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기자 출신인 A씨의 회사에 유력 변호사와 회계사, 부동산전문가들이 모인 배경도 궁금증을 키운다. 아울러 사업 시행자인 성남의뜰이 2018년부터 3년간 총 배당금 5903억원 중 4073억원을 화천대유와 지분 6%의 SK증권 등 민간 주주에 배당했는데, SK증권의 지분은 A씨와 그가 모집한 개인 투자자 6명으로 구성된 특정금전신탁으로 파악됐다. A씨가 장기대여금 명목으로 화천대유에서 빌린 473억원의 행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당은 성남의뜰 실제 소유주가 누구인지 수사기관이 나서 밝혀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현재 성남의뜰과 화천대유의 대표이사는 모두 A씨와 친분이 있는 성균관대 동문들이 맡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