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가 해양수산업 탈탄소화의 핵심 정책인 수소항만 생태계 구축을 위해 SK와 손잡았다.
해수부는 14일 SK와 ‘탄소중립·친환경 수소항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문성혁 해수부 장관과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겸 SK 수소사업추진단장이 참석했다.
항만은 수소를 생산·수입하고 수요처에 공급할 수 있는 수소생태계의 최적지로 꼽힌다. 해외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관문이자 LNG를 수입해 재생산하는 데도 적합한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항만 배후단지, 물류 모빌리티 등 수소연료 소비지로서의 풍부한 수요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해수부는 전국 주요 항만을 대상으로 수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 가능성을 검토해, 2040년에는 한국 수소 총 소비량의 60% 이상이 수소항만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기업 투자를 활성화해 수소항만 조성에 속도를 높이고, 관련 기술력과 투자의지를 보유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SK와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와 SK는 향후 △항만 수소복합 스테이션 구축 △항만 모빌리티 및 선박의 수소연료 전환 △항만 친환경 청정 블루수소 생산기지 구축 등 세 분야에서 협력한다.
SK는 선도사업으로서 2023년까지 여수광양항에 항만형 수소복합 스테이션을 구축한다는 사업계획을 지난주 여수광양항만공사에 제안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수소항만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수소항만에 대한 기업 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도 행정적,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