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측, 조성은·박지원 등 3명 고발
朴 “야당이 헛다리… 수사해보면 나와”
공수처, 김웅 의원실 대상 두번째 압색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경선 후보의 검찰총장 재직 당시 ‘고발 사주’ 의혹을 언론에 제보한 조성은씨가 “(해당 의혹이 보도된 날짜는) 우리 원장님이나 제가 원했던, 상의했던 날짜가 아니었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조씨는 “이상한 말꼬리 잡기”라며 해명에 나섰지만 야당은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의 공모를 실토한 것”이라고 총공세를 퍼부었다. 윤 후보 캠프는 조씨와 박 원장 등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했다.
조씨는 13일 오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박 원장과 어떤 요소에서라도 윤 전 총장에 대한 내용을 상의하거나 할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았고, 심지어 (박 원장과 만난지) 한 달 후인 지난 9월2일에 나온 (이번 의혹 최초) 보도는 저로서는 사고와 같은 보도였으므로 말도 안 되는 엮기”라고 강조했다. 전날 조씨가 방송 인터뷰에서 한 ‘날짜’ 발언으로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자 즉각 해명한 것이다. 그는 라디오 방송에선 “얼떨결에 나온 표현”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이미 파장이 커질 대로 커진 뒤였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원장의 해명이 불충분할 경우 사퇴나 경질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박 원장이 이 사건에 깊숙이 개입돼 있음을 (조씨가) 자백한 것”이라며 “박 원장과 김진욱 공수처장의 국회 출석을 공식 요구한다”고 압박했다. 윤석열 캠프 공보실장인 이상일 전 의원은 라디오에서 “조씨가 박 원장과 정치 공작을 공모했다는 걸 실토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도 공동 성명을 내 정보위 소집을 요구했다.
윤 후보 측은 이날 조씨와 박 원장, 이들이 지난달 11일 만난 자리에 동석한 것으로 추정되는 성명 불상자 등 3명을 국정원법·공직선거법·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고발장에는 “피고발인들이 허위 폭로를 통해 윤 전 총장이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 하게 하기로 공모하고, 지난 2일 인터넷 매체인 뉴스버스를 통해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윤 후보 캠프는 박 원장과 박범계 법무부 장관, 김 공수처장 등의 일괄 사퇴와 중립 내각 구성을 요구하기도 했다.

박 원장은 “야당이 헛다리를 짚는 것”이라며 강하게 부인하고 나섰다. 그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수사해보면 나온다”며 “(지난달 11일 만남 당시 조씨에게 조언한 게)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박 원장은 “(조씨와 내가) 특수한 관계 같다고 하는데, 그런 것은 없다”고도 덧붙였다.
사정당국은 이번 의혹 관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3부(부장검사 최석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국민의힘 김웅 의원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 재집행을 시도했다. 지난 10일 압수수색이 국민의힘 의원들과 보좌진의 반발로 무산된 지 사흘 만이다. 앞서 공수처는 윤 전 총장과 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공무상비밀누설, 공직선거법위반, 개인정보보호법위반 등 4개 혐의로 입건하고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도 이번 의혹에 관한 고소·고발을 1건씩 접수하고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사법시험준비생모임은 해당 의혹을 처음 보도한 인터넷 언론 뉴스버스의 발행인 이진동 기자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채널A 강요 미수 의혹’을 언론에 처음 제보했던 ‘제보자X’ 지모씨는 이번 의혹 보도에서 공개된 고발장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드러났다며 윤 전 총장 등을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한 상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