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에 물질 전달 효율화 기여”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의 조윤경(사진) 교수 연구진이 살아있는 세포 간 정보전달체 엑소좀(세포외소포체)을 리프로그래밍해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이 가능한 인공 세포 소기관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세포의 ‘장기’라 할 수 있는 세포 소기관은 세포호흡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 세포 내 소화기관 리소좀 등을 말한다. 연구팀은 나노 크기 엑소좀이 살아있는 세포 간의 효율적 정보전달체임에 착안했다. 이에 세포 크기의 액적 기반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해 두 종류의 엑소좀이 합쳐지면서 내부 물질끼리 화학반응이 일어나 융합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엑소좀 내부 및 막단백질에 서로 다른 효소를 갖고 있는 엑소좀의 융합 반응을 통하여 생촉매 반응을 성공적으로 제어했다.
조 교수는 “인공 엑소좀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에 보다 효율적인 물질 전달 방법을 제시했다”며 “향후 엑소좀의 내부와 표면에 부가적인 기능을 탑재한 인공 세포 소기관을 만드는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