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와 구로구, 성동구가 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도 스마트도시(중소도시 부문)로 인증됐다. 서울시는 대구와 대전, 경기 부천·안양과 함께 대도시 부문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았다.
12일 국토부에 따르면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지능화시설과 정보통신망, 도시통합운영센터 등 스마트 기술과 인프라, 추진체계 등을 잘 갖춰 공공·민간 데이터 활용 등 스마트 역량이 우수한 ‘스마트도시’를 정부가 인증하는 제도다. 혁신성과 거버넌스 및 제도적 환경, 서비스 및 기술 3대 분야, 10개 항목, 63개 세부지표로 종합 측정한다.
인구 50만명 이상 규모의 대도시와 50만명 이하 중소도시로 구분, 심사해 5등급으로 평가한 뒤 1∼3등급까지 인증을 부여한다. 2019년 시범인증에 이어 올해 처음 본인증을 했는데, 30개 도시가 참여해 2개월 동안 서면평가 및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이들 8개 도시가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았다.
서울시는 신호등·가로등 등 도로시설물을 하나로 통합하고 공공와이파이와 지능형 폐쇄회로(CC)TV, 사물인터넷(IoT), 전기차 충전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스마트폴’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강남구는 QR코드를 통한 코로나19 검사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 등이, 구로구는 IoT 감지센서를 활용한 노후시설물 관리체계 운영 등이, 성동구는 스마트 횡단보도와 스마트버스 쉼터 등이 호평을 받았다.
이성 구로구청장은 “스마트도시를 만들기 위한 그간의 노력이 좋은 결실을 맺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주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스마트구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매년 인증 공모를 통해 추가로 스마트도시 인증을 부여하고, 기존 인증 도시는 격년으로 적합성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인증평가를 주관한 국토연구원은 “이번에 인증받은 도시들은 스마트 인프라와 기술이 뛰어났다. 다만, 모두 3등급으로 평가돼 1등급을 받기 위한 혁신과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 정책관은 “서울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도시 인프라 및 기술을 기반으로 미래 스마트도시 생태계를 선도하고 혁신적인 스마트도시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