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지수가 '네 마녀의 날'이라 불리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인 9일 하락해 3110대로 밀렸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48.29포인트(1.53%) 내린 3114.70에 마감했다. 3일 연속 하락한 코스피는 종가 기준 지난달 23일(3090.2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미국 경기 둔화와 중국발 인플레이션 압박 확대, 선물 옵션 만기일에 따른 외국인과 기관의 매출 출회 등의 요소가 동시에 작용하며 오후 들어 낙폭을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8일(현지시간) 경기동향 보고서 '베이지북'을 통해 미 경제의 회복 속도가 다소 느려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중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008년 8월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여기에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에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82억원과 9311억원을 순매도하며 낙폭을 키웠다. 개인은 1조201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금융플랫폼 규제’ 쇼크를 맞은 카카오와 네이버는 이틀 연속 주가가 급락하며 시가총액이 19조원 가까이 증발했다. 지난 8일 주가가 10.06% 급락했던 카카오는 이날도 7.22% 떨어진 12만8500원에 마감했다. 전날 7.87% 떨어졌던 네이버도 이날 2.56% 주가가 하락하며 39만9000원으로 2개월여만에 40만원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날 외국인은 카카오를 1723억원, 네이버를 576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이틀에 걸쳐 카카오 6066억원, 네이버 2866억원을 순매도하면서 9000억원에 가까운 매물을 쏟아부었다. 기관 역시 외국인에 비해 매도 강도는 낮지만 이틀 연속 카카오와 네이버를 팔아 치웠다. 이에 따라 카카오와 네이버 시가총액은 각각 57조1449억원, 65조5411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플랫폼 양대산맥인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 급락은 정부와 여당의 플랫폼 규제 이슈가 부각된 탓이다. 지난 7일 금융당국은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파이낸셜 등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카드·보험·연금 등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위반 우려가 있다는 해석을 내놨다.
같은 날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룡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근절 대책 토론회' 서면 축사에서 "혁신 기업을 자부하는 카카오가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8일 국회 예결위 종합정책질의에서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사전규제, 금지행위를 통한 사후 규제 모두 필요하다"며 "카카오T에 대한 규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9일 장 마감 이후 금융위원회가 빅테크에 규제 준수를 재차 강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후 빅테크·핀테크 업계가 참석한 실무 간담회에서 "혁신을 추구하더라도 금융규제와 감독으로부터 예외를 적용받기보다는 금융소비자보호 및 건전한 시장질서유지를 위해 함께 노력해나가야 한다는 점을 한 번 더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특히 금융위는 "위법소지가 있는데도 자체 시정 노력이 없는 경우에는 엄정하게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네이버파이낸셜, 엔에이치엔페이코,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 에스케이플래닛, 뱅크샐러드, 핀다, 핀크, 한국금융솔루션, 해빗팩토리, 핀마트, 팀위크 등 13개 업체 실무자가 참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