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재명 “송·배전망은 국가가 투자하는 것…공공재 민영화는 반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대선

입력 : 2021-09-09 17:41:03 수정 : 2021-09-09 17:41: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전 민영화 공약’ 가짜뉴스와 관련 “사실 아니다” 일축
이 지사 “나는 기본적으로 공공재 민영화 반대하는 사람”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8일 경기도 제2호 특별생활치료센터로 운영되는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을 방문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9일 소위 ‘한전 민영화 공약’ 가짜뉴스와 관련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송·배전망 투자 주체는 ‘중앙 정부’라고 못 박았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회의를 마친 뒤 기자와 만나 ‘한전 민영화’ 관련 의혹은 사실무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는 “내가 이야기한 것은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를 설치해 관리하는 것처럼 (정부가) 송·배전망을 확충해 우리나라 각 말단부에서 풍력이든 태양광이든 분권형 발전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어 “지금처럼 화석 연료나 원전으로 전력을 생산해 지방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지방 말단부에서 재생 에너지를 생산해 (전국 각지로) 공급하려면 송·배전망이 필요하다”면서 “지금은 송전망밖에 없다. (송·배전망을 통해) 역으로 (말단부에서) 전기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를 ‘스마트 그리드’라고 한다”면서 “이를 10조원 정도 들여 설치하면 각 말단부에서 신재생 에너지 생산이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전력 생산이 늘어나려면 생산설비를 만들어야 한다. 연구·개발(R&D)도 해야 한다”면서 “재생 에너지가 (태양광의 경우) 밤에 생산되지 않고, (풍력 발전은) 바람이 안 불면 (전력) 생산이 안 되는데, 전국 전력 수급망을 조정해 실제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지능형 전력망을 만들어주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력망 송·배전망을 활용하는 온갖 민간사업이 생겨날 것”이라면서 “생산·소비·설비·유지보수 등 ‘에너지 고속도로’를 만들면 연간 40조원 정도 투자 유치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송·배전망에 (민간이) 투자하는 게 아니다. 그건 국가가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민영화 관련 가짜뉴스는) 이 이야기를 왜곡한 것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공공재에 대한 민영화를 반대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지난달 2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 경제 재도약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며 선도적 에너지 전환을 통한 ‘전환성장’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박정희정부의 ‘산업용 고속도로’와 김대중정부의 ‘인터넷 고속도로’가 이 나라 경제 성장의 동력이었음을 언급하며 “기후위기 시대의 대전환을 준비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드는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인공지능(AI) 기반 송·배전망을 구축하겠다고 제시했다. 민영화 관련 언급은 하지 않았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