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정권수립 기념일(9·9절) 73주년을 하루 앞두고 각국 정상들의 축하 메시지와 경축 행사를 줄줄이 전하며 축제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8일 1면에 시리아와 파키스탄, 니카라과, 짐바브웨,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의 축전 전문과 라오스·팔레스타인·베트남을 비롯해 북한 주재 외교단·무관단의 화환 전달 소식을 빼곡히 실었다.
평양 곳곳에서 열린 경축행사도 전했다.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 중앙예술선전대가 전날 평양 낙랑구역 정백남새(채소) 전문협동농장에서 경축 공연을 벌였고, 옥류전시관에서는 제2차 전국 조각·공예 축전이 개막했다.
또 조선직업총동맹(직총)이 중앙노동자회관에서 정권수립 업적을 칭송하는 시·노래 모임을 열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외에도 러시아와 노르웨이, 네팔, 베네수엘라, 적도기니, 나이지리아 등 해외에서 정권수립 73주년을 기념하는 토론회와 사진 전시회, 영화 감상회가 이어졌다.

이 같은 보도는 애국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국가 기념일 분위기를 십분 고조시키면서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장기화하는 대북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잇단 자연재해 속에서 주민들의 불만을 달래고 충성심을 고취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북한이 9월 9일에 맞춰 열병식을 진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올해는 정권수립 73주년으로 5년, 10년 단위로 떨어지는 이른바 '정주년'은 아니지만, 군 당국은 평양 미림비행장의 준비 상황을 볼 때 정권수립 기념일에 열병식을 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10월 10일 당창건 기념일과 올 1월 14일 8차 당대회를 기념해 열병식을 열었고, 추가로 열병식을 여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다.

북한은 2018년에도 2월 군 창건 70주년 경축 열병식을 연 데 이어 같은 해 9월 정권수립 70주년 열병식을 진행했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1월 잇달아 심야에 열병식을 진행한 만큼 이번에도 야간에 열병식이 열릴지 관심사다.
최근 평양 상공에 전투기가 야간 비행을 하는 모습이 포착돼 '야간 에어쇼'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