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매출 연 5000억 목표
‘미래 먹거리’ 수소사업 본격화

현대오일뱅크가 수소 사업을 본격화한다.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수소차에 들어가는 고순도 수소 정제 설비를 구축한 데 이어 연내에 수소연료전지 분리막 생산 설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오일뱅크는 올해 안에 분리막 생산 설비 구축 및 시운전을 마치고 내년 국내 자동차 제조사와 공동으로 실증 테스트를 거쳐 2023년 제품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2단계로는 내년부터 전해질막으로 사업을 확대해 부품 국산화에 일조할 방침이다. 2030년 수소연료전지 분야에서 연 매출 5000억원, 영업이익 1000억원 이상을 창출할 계획이다.
분리막은 수소연료전지에서 전해질막의 강도를 좌우하는 뼈대로, 연료전지 시스템의 출력 향상과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해질막은 수소가스에서 분리된 전자의 이동은 막고 수소이온만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주는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이다. 국내는 아직 전해질막, 기체 확산층 등 수소연료전지 주요 부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현대오일뱅크는 각국의 내연기관차 감소 정책, 전기차 배터리보다 진입장벽이 낮은 점 등을 고려해 올 초 수소연료전지 사업 진출을 확정했다. 장기적으로 기체 확산층, 전극 분리판 등 자동차용 수소연료전지 전반을 포괄하는 단위셀 사업과 건물·중장비용 연료전지 시스템 사업 진출도 검토 중이다.
최근 한국수출입은행의 ‘연료전지 개요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수소연료전지 시장은 매년 30% 이상 성장해 2030년 50조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전지 소재뿐 아니라 수소연료전지차에 넣을 고순도 수소 생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간 이 회사는 연 20만t의 수소를 자체 생산해 정유 공정에 활용해왔다. 이를 수소차에 쓰려면 순도를 99.999%까지 높여야 한다. 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정유사 중 처음으로 차량용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하루 최대 3000㎏의 고순도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현대오일뱅크의 수소 사업 확장은 그룹사인 현대중공업그룹의 수소 경제 강화 노력과 맞닿아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3월 수소 생산부터 운송·저장·활용에 이르는 수소 가치사슬을 구축하겠다는 ‘수소 드림 2030 로드맵’을 발표했다. 강달호 현대오일뱅크 사장은 “앞으로도 블루수소, 화이트바이오, 친환경 소재 등 3대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