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 선수를 둘러싼 ‘사이버 테러’에 분노한 여성 누리꾼들이 해시태그 운동을 벌이며 반격에 나선 가운데 최근 ‘손가락 논란’에 휩싸여 사과한 GS리테일에 대한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일 트위터 등 각종 소셜네트워크(SNS)에는 GS리테일을 규탄하는 해시태그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앞서 남성 누리꾼들이 주축인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GS25 포스터에 나온 손 모양 등의 이미지가 남성 혐오 커뮤니티 ‘메갈리아’에서 남성 성기를 비난하는 이미지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GS25는 메갈 기업’이라며 불매운동을 벌인 바 있다. 이에 결국 GS25는 포스터를 수정하고 수차례 사과문을 발표했다.

특히 해당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당시 남성 누리꾼들의 억지 주장을 바로 잡지 못한 결과 안산 선수를 향한 사이버 테러로 이어졌다며 손가락 논란에 사과한 기업들에 대한 불매 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내 ‘여성혐오_키워낸_기업’ 계정 운영자는 “GS리테일은 억지남혐 논란의 씨앗에 물과 거름을 줘 성차별주의자들의 목소리를 키운 현 사태에 반성하고 사죄하라”며 ‘#여성혐오_키워낸_GS_사과하라’, ‘#국격_낮춘_GS_사과하라’ 등의 해시태그 운동을 제안했다. 이에 다른 여성 누리꾼들도 GS25 외에 손가락 논란에 사과한 기업들과 지자체 명단 등을 공유하며 이들에 대한 불매를 권장했다.

한편 운동에 참여하는 다른 여성들은 “GS25 편의점 공식 인스타그램에 게재된 한 게시물에는 4천여개의 항의 댓글이 이어졌지만, 별다른 공지 없이 삭제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현재까지 GS25를 향한 항의가 계속되는데도, 회사측은 아직까지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는 상태다.
또한 해당 사건 이후에도 엄지와 검지를 벌린 손가락 모양을 찾아내 해당 손 모양이 ‘페미’와 ‘남혐’을 의미한다며 공격에 나선 일부 남초 커뮤니티 회원들은 문제가 제기된 제너시스BBQ, 카카오뱅크, 스타벅스RTD 등의 기업들과 경찰청, 용산 전쟁관, 평택시 등에서도 사과를 받아냈다.
이번 GS 규탄 운동을 주도한 익명의 여성들은 성명문을 통해 “실체도 없는 ‘남혐’ 심볼을 사용했다며 사과를 요구한 성차별주의자들의 요구에 순응한 대처는 타 기업들 역시 사과문을 게재하게 만든 선례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은 물건을 집기 위해 누구나 일상적으로 행동하는 손짓을 가지고, 이것이 남성 혐오의 표식이라는 주장은 성차별주의자들의 근거 없는 억지이자 피해 의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부 남성 성차별주의자들의 이런 행태는 하루 아침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다”라며 “이들의 목소리를 정당한 것으로 탈바꿈시켜 소리를 높이는데 크게 공헌한 기업들의 무분별한 사과가 있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