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李, 음주운전 재범 의혹
이번에 논란 털고 가자” 제안
이낙연·정세균 동참의사 밝혀
이재명 “이미 다 제출” 반발
캠프선 이낙연측 대변인 신고
당내 “중도층 민심 이탈할 것”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들이 이재명 후보의 ‘음주운전 전과’까지 거론하면서 이전투구 양상을 빚고 있다. 공직선거법상 굳이 공개하지 않아도 될 벌금 100만원 이하 전과까지 공개하자며 이재명 후보 공동 압박에 나선 상황이다. 정세균 후보가 제안한 후보 검증단 구성을 둘러싼 논쟁도 재점화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낙연 후보 측 네거티브에 ‘당 선관위 신고’로 맞섰다. 당내에서는 “네거티브가 누적되다 보면 결국 중도층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선거법상 공직선거 출마 후보는 벌금 100만원이 넘는 형의 전과기록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그 이하 범죄 기록은 따로 제출할 필요가 없다. 네거티브 강도가 격해지자 따로 신고할 필요가 없는 범죄전력마저도 공세 수단으로 활용된 셈이다.
김두관 후보는 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번 기회에 논란을 털고 가자. 100만원 이하 모든 범죄기록을 공개하자”고 선제 압박에 나섰다. 특히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벌금 150만원이 이상하다는 제보가 계속된다”며 “과거에는 초범의 경우 70만원이 일반적이고 재범, 취소 수준의 폭음, 사고가 150만원이라고 했는데 상당 댓글에서 재범 논란이 일고 있다”고 1위 주자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김 후보 제안에 정세균, 이낙연 후보가 맞장구를 쳤다. 나아가 당 차원 후보검증단 설치를 역으로 제안했다. 정 후보는 “100만원 이하 모든 범죄기록 공개에 동참하겠다”면서 “제가 제안한 검증단 설치도 화답해달라”고 했다. 이낙연 후보도 “대선 후보 검증은 공당의 책무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인데 당내 검증은 없다”며 검증단 설치 요구에 호응했고, 범죄기록 공개도 “깨끗하게 털고 가자”고 수용 의사를 밝혔다. 2009년 음주운전으로 100만원 벌금을 낸 박용진 후보도 “당 차원 검증은 당연하다. 필요하면 누구나 검증에 응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이재명 후보는 “동료에 대한 최소한의 애정의 문제”라며 반발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변명의 여지 없이 음주운전을 한 사실은 반성하고 죄송하다”면서도 “사실 민주당은 이미 오래전부터 전과를 벌금 액수에 상관없이 공천 심사에 반영한다. 다른 후보들도 이미 전과기록을 제출했고 이를 모를 리 없을 텐데 (검증 공세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이날 이재명 후보 측은 “이낙연 측 오영훈 수석대변인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당선거관리위원회와 윤리감찰단에 신고장을 제출했다. “경기도민 혈세가 이 후보 선거운동을 위한 주유비로, 차량 유지비 등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논평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재명 후보 측은 “이 후보는 개인 일정과 도정을 철저히 분리, 경선과정에서 도민 세금을 쓴 바 없다”며 “경선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훼손한 오 대변인은 캠프에서 사퇴하라”고 말했다.
네거티브가 누적되던 차에 전과기록 공세, 경선 후보 간 고발전까지 벌어지면서 당내에서는 우려가 나온다. 과거 박근혜·이명박 대통령의 2007년 경선처럼 야당에 공세 빌미를 주고 또 경선 후유증이 상당할 것이란 지적이다. 박용진 후보는 전날 “1, 2위를 다투는 두 ‘이씨’ 후보에게 큰 책임이 있다”며 “네거티브에 매몰되다 보면 당의 경선 자체가 망가진다”고 말했다.
1, 2위 두 캠프는 네거티브를 늦출 생각이 없다. 이재명 캠프 전용기 대변인은 “원팀선언 이후에도 흑색선전과 네거티브를 주 전략으로 사용하는 캠프가 있다”고 이낙연 캠프를 직격했다. 이낙연 캠프 배재정 대변인은 통화에서 “네거티브와 검증을 구분하는 기준은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재명 캠프는 이낙연 캠프가 지지자들의 흑색선전을 방조·권장한다 생각하고 이낙연 캠프는 이재명 캠프가 네거티브를 직접 주도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