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화성 동탄신도시 일원에 예정된 동탄 트램(동탄도시철도)의 수원 망포역 연장안이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으면서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궤도에 오른 대전 2호선 트램과 서울 위례 트램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트램 노선을 확정할 예정이다.
◆ 화성시, 수원 망포역 연장안 확정…2024년 하반기 노선 착공
28일 화성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도시철도망구축계획변경안’이 정부 승인을 얻었다고 밝혔다. 다음 달 ‘동탄도시철도 기본계획안’ 승인까지 마치면 오는 2024년 하반기에 착공해 2027년 말 개통된다.
동탄 트램은 사업비 9773억원 규모다. 수원 망포역∼동탄역∼오산역, 병점역∼동탄역∼차량기지 등 2개 구간에 노면전차인 트램을 설치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비의 85%를 분담한다.
수원 망포역∼화성 반월동 구간(1.8㎞)의 노선연장은 원래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는 없었으나 시민 의견 수렴 절차 등을 거쳐 반영됐다. 바뀐 경기도의 도시철도망구축계획변경안은 지난해 12월 국토부에 제출됐다.
변경안이 확정되면서 총연장 34.2㎞에 달하는 동탄 트램의 정거장은 망포∼오산구간에 19개, 병점∼동탄2 구간에 17개 등 총 36개가 됐다. GTX-A노선과 지하철 1호선·분당선과의 환승도 가능하다. 동탄신도시 주민은 서울 삼성역까지 평균 35분대에 이동할 수 있다.

◆ 성남시,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 포기…‘레임덕’ 은수미 시장의 역점 사업
전기 배터리나 수소 연료전지로 움직이는 트램은 ‘꿈의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불린다. 1㎞당 건설비가 지하철의 6분의 1 정도로 저렴하고 주변 상권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도로에 선로를 깔아야 해 혼잡구간에선 기존 차로를 줄이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유럽 등 선진국에선 흔하지만 국내에선 1960년대 말 구형 트램이 폐선되면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수원·고양·창원·구미 등 기초지자체를 비롯해 인천·울산·대전시 등 광역지자체들이 트램 사업을 쏟아냈지만 아직 착공에 들어간 곳은 없다. 이 중 대전은 국가 균형 발전 등을 이유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정부 도움으로 트램 건설을 추진 중이다.
상위 철도망구축계획안에 이어 하위의 기본계획안까지 통과해 궤도에 오른 곳도 대전과 서울 위례 뿐이다. 부산의 경우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을 위한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에선 성남시가 판교 트램(도시철도 2호선)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성남시는 국비지원을 위한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가 어렵다고 판단해 사업비를 판교구청 예정부지 매각 대금 등으로 충당할 방침이다. 사업비 3550억원(총연장 13.7㎞) 규모로 이달 초 사업 추진위 구성에 들어갔다.
인구 100만에 못 미치는 성남시는 기초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자체 재원으로 트램 건설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 한국행정연구원의 타당성 조사와 시 재정투자심사위 심의 등을 마치더라도 빨라야 2026년에야 착공이 가능하다. 이 사업은 ‘레임덕’ 논란에 빠진 은수미 시장의 역점 사업이기도 하다.
은 시장은 지난 3월 트램 사업을 성남시 자체 재원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성남의 트램이 성공하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트램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