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왜곡’ 유산정보센터 개선 촉구

유네스코 산하 세계유산위원회가 22일(현지시간) 일본의 세계유산 관리 방식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한국에 ‘군함도’(사진)로 널리 알려진 나가사키(長崎)현 하시마(端島)의 조선인 강제노역과 인권침해 등 어두운 역사를 제대로 안내하라고 한 권고가 일본 정부에 의해 사실상 거부당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결의문에서 군함도에 관해 설명하는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개선하라고 일본 정부에 강하게 촉구했다.
군함도는 일제강점기에 해저 탄광이 있었다. 당시 한반도에서 강제로 동원된 노무자들이 이곳에서 구타 등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해가며 강제노역에 종사했다는 것이 당사자들 증언과 역사 전문가들의 연구로 거듭 확인됐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아베 신조 총리 시절인 2015년 군함도 등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 포함된 근대 산업시설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등의 반대를 극복하기 위해 “징용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하지만 군함도 역사를 소개한다며 도쿄에 설치한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물은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인권침해를 정확히 기술하지 않았다.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운영하는 일반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는 되레 강제노역과 인권침해 역사를 부정하는 내용의 옛 군함도 주민 동영상 등을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역사 왜곡에 앞장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날 유네스코의 강한 유감 표명은 바로 여기서 비롯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조선인 징용 등 강제노역과 인권침해 역사를 제대로 알리도록 전시관을 개선하라”고 거듭 촉구해왔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서 “약속한 조치를 성실히 이행해왔다”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