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이낙연, 盧 탄핵 반대표?
당시 사진 보니 물리력 행사” 저격
정세균 “이낙연·秋, 그때 다른 당”
이낙연측 “文대통령이 총리 임명
이 이상의 설명 필요한가” 맞서
김두관 “盧 탄핵·尹 산파·金 사퇴
秋가 자살골 해트트릭” 책임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과정이 각 경선후보 간 정책 및 도덕성 검증은 뒷전인 채 인신공격과 과거 들추기로 점철된 이전투구로 흐르고 있다. 이재명 후보 측은 이낙연 후보 측을 겨냥해 이틀 연속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책임론을 제기했다. 정세균 후보도 공방에 가세했다. 김두관 후보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몰락 책임을 추미애 후보 탓으로 돌렸다.
이재명 후보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본소득 공약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기자들을 만나 “(노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사진들을 보니 표결을 강행하려고 물리적 행사까지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최근에는 반대표를 던졌다고 하니 납득이 잘 안 된다”고 이낙연 후보를 저격했다. 이낙연 후보가 무기명 비밀 투표로 진행된 당시 국회 표결에서 탄핵안에 반대표를 던졌다고 주장하자 직접 반격에 나선 것이다.
이재명 후보 측 상황실장인 김영진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낙연 후보 측 설훈 의원을 향해 “2004년 노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이낙연 후보가 탄핵 과정은 참여, 탄핵 표결은 반대한 판단과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고 포문을 열었다. 설 의원은 당시 탄핵 반대를 주장하며 삭발 및 단식 투쟁을 했다.
김 의원은 이낙연 후보를 겨냥, “탄핵 반대를 외치던 유시민, 김근태, 송영길 (당시 의원)을 가로막는 대열에 동참했다”면서 탄핵 반대론자였던 송영길 현 당 대표와 탄핵 추진에 삼보일배로 사죄한 추미애 후보 등도 끌어들였다. 그는 “설훈의 길, 송영길의 길, 추미애의 길, 이낙연의 길이 있었다”며 “후배 의원들은 어느 길을 가야 하나”라고도 했다.

이재명 후보의 수행실장인 김남국 의원도 노 전 대통령 탄핵안 처리 당시 국회 본회의장 사진을 공개하며 화력을 보탰다. 그는 “(이낙연 후보가) 2004년 탄핵 반대를 하면서 찬성하는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의원과 함께 스크럼을 짰던 장면”이라고 설명하며 “표결에 반대 투표하면서 탄핵 가결을 위해 방탄 스크럼을 짠 것은 무엇일까”라고 했다.
이낙연 후보 측 오영훈 의원은 논평을 통해 “이낙연 후보를 흔들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은 딱하기 그지없다”고 했고, 최인호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분열을 선동하는 네거티브는 민주당의 길이 아니다”라고 대응했다. 박용진 후보도 이재명 후보 측을 향해 “네거티브를 멈추고 저와의 정책 토론장으로 들어오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 탄핵 책임론에 정세균 후보도 뛰어들며 전선이 확대됐다. 정 후보는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그 당시 이낙연 후보는 다른 정당에 있어서 저희들은 그 정당 내부 사정을 자세히 모른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때 내부 사정을 잘 아는 분이 추미애 후보일 것이다. 같은 당에 계셨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낙연·추미애 후보가 당시 노 전 대통령 탄핵을 추진했던 새천년민주당 소속임을 들어가며 동시 저격한 것이다. 정 후보는 당시 열린우리당 소속이었다.

김두관 후보는 전날 김경수 전 지사가 드루킹 댓글 여론조작에 관여한 혐의(컴퓨터 등 장애업무방해)로 징역 2년을 확정받아 지사직을 잃고 재수감될 처지에 놓이자 ‘추미애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추 후보를 두고 “누군가는 노무현 탄핵, 윤석열 산파, 김경수 사퇴 이렇게 3번 자살골을 터뜨린 자살골 해트트릭 선수라고 이야기한다”고 했다. 추 후보가 당 대표 시절 드루킹 사건을 적극 수사 의뢰하고 법무장관 시절에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맞서며 되레 윤 전 총장 주가만 높여줬음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