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올해 상반기 미국 가전 1위 업체인 월풀(Whirlpool)을 가볍게 제치며 전 세계 생활가전 부문 1위에 올랐다. 월풀 역시 2분기 ‘깜짝 실적’을 달성했지만, LG전자를 따라잡진 못했다.
월풀은 22일(한국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31.7% 증가한 53억2400만 달러(한화 약 5조9700억원)를 기록했다. 시장 컨센서스인 50억5000만달러를 웃도는 호실적이다.
앞서 LG전자는 이달 초 2분기 잠정실적을 공개한 바 있다.
생활가전(H&A사업본부)에서만 6조8000억원(증권사 전망치 기준)의 매출을 올려 월풀보다 8000억원가량 앞섰다. 이는 2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에 해당한다.
지난 1분기에도 LG전자는 매출 6조7081억원을 기록, 약 6조원 수준이었던 월풀을 제쳤다.
올해 상반기 매출로 따지면 LG전자가 약 13조5000억원, 월풀 11조9000억원으로 LG전자가 1조6000억원가량 크게 앞섰다.
다만 2분기 영업이익은 중국법인 지분 매각, 터키 자회사 매각 등으로 일회성 수익이 늘어난 월풀이 6억8300만 달러(7658억원)로 LG전자(6500억원 추정)를 앞섰다.
그러나 지난 1분기에는 LG전자가 9199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월풀(6885억원)을 크게 앞서면서 상반기 기준으로도 월풀을 1000억원 이상 앞질렀다.
영업이익 면에서 봤을 때 LG전자는 지난 2017년부터 월풀에 앞서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수성해왔다. 그러나 매출만큼은 월풀에 이어 늘 2위였다.
LG전자가 올해 상반기에만 월풀과의 격차를 크게 벌리며, 블랙프라이데이 등 영향으로 하반기 매출 강세 경향을 보이는 월풀을 연간 매출에 있어서도 앞지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한편 LG전자는 ‘상반기 호실적’ 이유로 공간 인테리어 프리미엄 가전 ‘LG 오브제컬렉션’의 선전을 꼽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이른바 ‘집콕’ 문화의 확산 및 펜트업 수요 증가로 단품 아닌 2∼3개 이상 패키지 가전 구매가 늘면서 인테리어와 조화를 고려한 오브제컬렉션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LG전자는 늘어난 제품 수요에 맞추기 위해 창원공장을 ‘풀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