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쿠바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 배후에 미국이 있다며 연일 비난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은 22일 홈페이지에 실은 글에서 “아바나를 비롯한 각 도시에서 혁명정부에 도전하는 반정부 시위를 제압하고 적대세력의 내정간섭 책동을 규탄·배격하는 군중 집회가 진행됐다”며 “미국의 내정간섭을 물리치고 사회주의 기치를 굳건히 고수해나가기 위한 쿠바 인민의 투쟁은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옹호했다.
외무성은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해 이번 시위가 “사회주의와 혁명을 말살하려는 미국의 배후조종과 끈질긴 반(反)쿠바 봉쇄 책동의 산물이자 전염병 전파상황을 왜곡해 주민 속에서 불만을 야기시키고 인민 단결을 파괴하려는 불순분자들의 시도”라고 주장했다.
외무성은 또 “최근 유엔 총회에서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 무역, 금융봉쇄를 철회한 데 대한 결의가 또다시 채택됐다”면서 “이것이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목소리”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경제제재 때문에 쿠바의 식량·의약품·전력난이 심화해서 시위를 촉발하는 배경이 됐다고 에둘러 비난한 것이다.
북한 외무성이 쿠바 시위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 16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쿠바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는 사회주의와 혁명을 말살하려는 외부세력의 배후조종과 끈질긴 반쿠바 봉쇄 책동의 산물”이라고 미국을 우회 겨냥했다. 21일에는 박명국 외무성 부상 명의로 담화를 내고 “쿠바사태의 진범인, 배후조종자는 다름 아닌 미국”이라고 주장했다.
북한과 쿠바는 1960년 수교 이래 같은 사회주의 체제와 반미노선을 축으로 특별한 친분관계를 유지하면서 국제무대에서도 상호 입장을 지지해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