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방역당국 “영국 방식(규제 전면 해제) 우리나라 적용은 시기상조… 예방접종률 차이”

관련이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입력 : 2021-07-21 16:42:12 수정 : 2021-07-21 16:42:20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관악구 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역당국은 인도에서 유래된 ‘델타형’ 변이와 ‘이동량’ 증가의 두 가지 변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 주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아울러 영국처럼 거리두기를 완화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예방 접종률 차이 등을 이유로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시행에도 확진자가 날로 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가장 큰 요인은 델타 변이와 이동량”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바이러스 영향과 행태적인 영향이 작용하면서 지역사회 내 감염원이 늘어났고, 이것이 ‘n차 전파’와 ‘조용한 전파’를 통해 규모가 커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팀장은 거리두기 효과가 나타날 시점에 대해서는 “단계 상향 조정 후 방역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2주 정도 예상한다”며 “다만 이 효과는 이동량 감소라는 이행력이 확보된다는 전제하에 기대할 수 있는데, (여러) 변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중구 명동 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박 팀장은 그러면서 “현재 접촉자 추적관리도 기존보다 강화됐고,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한 선제검사도 병행되고 있다.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볼 때 효과가 나오는 데는 2주가 소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거리두기는 지난 12일 4단계로 격상됐고, 오는 25일 종료된다. 정부는 이번 주말까지 유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단계 조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박 팀장은 향후 유행 전망에 대해서는 “발생 환자 수뿐만 아니라 이동량 감소, 예방 접종률 상승 등의 요소를 함께 분석 중”이라며 “질병관리청의 기존 전망을 수정할지는 분석 결과를 봐야 한다”고 전했다.

 

질병청은 앞서 지난 8일 브리핑에서 현 상황이 유지될 경우 이달 말 하루 신규 확진자가 1400명대, 악화할 경우 2140명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박 팀장은 우리나라도 영국처럼 코로나19를 인플루엔자(독감) 수준으로 관리할 수 없느냐는 질문에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그는 “영국에서는 델타 변이가 주로 퍼지면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도 치명률이 낮아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지만, 그것은 영국의 방식”이라면서 “비슷한 상황에서 영국 방식을 취하지 않는 나라도 있다”고 전했다. 박 팀장은 또 “영국 모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는 있다”면서도 “다만 우리는 영국과 비교해 예방 접종률에서 차이가 있어 바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