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 2분기 실적은 선박 건조 비용의 20%를 차지하는 후판 가격이 하반기 큰폭으로 인상될 것이란 전망을 반영함에 따라 9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조7973억원, 영업적자 8973억원, 당기순손실 7221억원을 기록했다고 2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3.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전년에 비해 적자로 전환했다. 직전 분기인 올해 1분기와 비교해서 매출액은 3.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다.
올해 들어 수주량이 증가하고 선가도 상승했지만 급격한 강재(후판) 가격 인상 전망으로 인해 조선부문에서 8960억원의 공사손실충당금을 선반영한 데 따른 것이다.
해양부문은 매출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 플랜트부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공정 지연의 영향으로 적자폭이 커졌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상반기에만 총 162척(해양플랜트 2기 포함), 140억달러를 수주하는 등 연초 세운 조선·해양부문 목표액 149억달러를 조기에 달성, 2년 반치 이상의 안정적인 수주잔량을 확보한 상태다.
한국조선해양은 향후 강재의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이 안정을 되찾고, 올해 수주한 선박의 매출 비중이 점차 커지면서 실적 개선의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운 운임과 유가의 상승에 힘입어 선박, 해양플랜트 발주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로 조선 시장이 친환경 기술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 역시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