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날 오전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 3국 차관이 한반도의 안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와 관여의 중요성’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3국 차관은 향후 정기적으로 만나 3국간 긴밀한 소통을 이어나기로 했는데, 4년만에 3국 차관 협의가 복원된 것이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제 8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에 공감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3국은 현 상황의 진전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또 미얀마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누고,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기후변화, 글로벌 문제 대응도 함께 해나가기로 했다.

셔먼 부장관은 이날 협의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에 대화 메시지를 보내고 있음을 시사하며 “우리는 그들(북한)이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기대한다. 내 동료들이 말하는 듯이 우리는 인내할 것이다. 하지만 많이는 아니고 약간(의 인내)”이라고 말했다. 셔먼 부장관은 또 2017년 10월 이후 약 4년 만에 복원된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에 대해 “우리는 대북 정책 접근에서 어깨와 어깨를 맞대고,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공동기자회견에서 “한반도 비핵화는 긴 게임”이라며 “그것을 위해서는 한·미·일의 전략적 공조가 중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외교에 방점을 두고 있는 만큼 북한의 반응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