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초기 대응 부실 군, 최초의 해외의무수송 자화자찬

입력 : 2021-07-21 08:27:53 수정 : 2021-07-21 08:53: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청해부대 34진 전원이 20일 군 수송기 편에 귀국한 가운데 이번 사태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집단 감염 발생 후 비교적 신속하게 전원을 국내로 이송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백신 미접종부터 초기 대응까지 문제가 많았다는 비판도 만만찮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21일 "이번 작전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해외 파병 장병들의 무사 복귀를 위해 민관군이 총력을 펼쳐 최단기간에 임무를 달성한 최초의 대규모 해외 의무 후송 사례"라고 평했다. 해외파병 사상 집단감염으로 인한 최초 전부대 조기 철수를 ‘최초 해외의무수송’으로 명명하며 자찬한 것이다.

 

또 "국방부와 합참, 해군, 공군, 국방부 직할부대가 참여한 최초의 해외 긴급 의무 후송 합동 작전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서욱 국방장관은 파병국 현지 국방장관과 통화해 협조를 이끌어냈다. 국방장관 간 통화에 의해 청해부대 입항, 출입국 절차 간소화, 방역 협조, 호송 지원 등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외교부는 군 수송기 이동에 기여했다. 외교부는 청해부대원들을 싣고 올 군 수송기가 3일 만에 20여개국 영공 통과할 수 있도록 협조했다. 20개국 중 몰디브 등 4개국은 상주 공관이 없는 곳임에도 외교부가 승인을 얻었다는 게 국방부와 합참의 설명이다.

 

다만 백신 미접종으로 집단 감염 사태를 초래한 점은 심각한 과오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청해부대의 초기 대응 역시 부실했다. 국방부와 합참의 설명에 따르면 군수품 조달을 위한 현지 입항이 마무리된 후 이튿날인 7월2일 감기 증상자 1명이 발생했다.

 

7월5일까지 증상자가 지속 발생하자 부대는 감기 증상자 격리, 함정 내부 환기와 방역, 취임 시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조치를 취했다.

 

그럼에도 증상자가 늘어나자 문무대왕함은 결국 13일 현지 항구 인근 해역에 정박한 뒤 유증상자 6명을 선별해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고 대규모 확진이 현실화됐다.

 

이 밖에 청해부대가 신속항원검사 키트가 아닌 감별 능력이 떨어지는 신속항체검사 키트를 가져갔고 이 때문에 초기에 확진자를 판별하는 데 실패했다는 논란도 일고 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