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4~15일 서유럽을 강타한 폭우와 홍수로 독일에서만 166명이 숨진 가운데, 현지 야권과 언론에서 총체적 대응실패라며 재해대책이 후진국 수준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20일 연합뉴스는 이날 독일 빌트와 DPA 통신의 집계를 인용, 대홍수로 인한 사망자는 라인란트팔츠주에 117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47명, 오버바이에른 베르히테스가덴에 2명 등 모두 166명으로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지역 당국에 따르면, 피해가 가장 집중된 라인란트팔츠주 내 연락두절자는 여전히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해당 지역 사망자 중 신원이 확인된 이들은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또한 피해 지역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여전히 6분의 1가량이 먹통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관해 독일 일간 디벨트는 “재해대책이 후진국 수준으로 드러났는데도 정치권과 정부에서는 기후변화만 탓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요즘 사람들은 악천후에 당하지 않는다”며 “기상학자들이 선제적으로 날씨에 따른 위험을 예보하면 정부는 재해대책에 따라 위험지역의 사람들에게 제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방글라데시나 모잠비크 등 개발도상국도 극단적 기후에 따른 희생자를 수십 년 새 대폭 줄이는 데 성공한 반면 독일은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자국민을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하는 데 실패했다”고 일침을 가했다.
독일 야권도 정부 대응실패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안나레나 배어복 녹색당 총리 후보는 ARD 방송에 출연해 “지역을 넘어서는 재해가 발생한 경우 연방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다른 국가에서 구조인력과 물자를 빠르게 조달하고, 경보에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하엘 토이러 FDP 원내부대표는 “시스템 차원에서 총체적 대응실패”라며 “기상학자들의 조기 경보는 정부 당국이나 방송을 통해 충분히 시민들에게 전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틀 전 라인란트팔츠주의 대홍수 피해 현장을 둘러봤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를 방문할 예정이며, 오는 22일에는 연방정부·주총리 회의를 열고 4억 유로(한화 약 5천400억원) 규모의 즉시피해복구자금 지원에 합의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