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2020 도쿄올림픽’ 기간 방일 계획을 취소한 문재인 대통령의 결정에 ‘환영’ 의사를 밝혔다.
정 전 총리는 문 대통령의 방일 취소 보도가 나간 다음날인 20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방일 취소 결단을 환영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그는 “고뇌에 찬 대통령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지도자로서 민족이 나아가야 할 역사를 두고 늘 깊이 고민하셨다”라며 문 대통령을 위로했다.
정 전 총리는 “일본은 우리에게 아픈 과거와 미래 희망이 교차하는 나라”라며 “역사는 언제나 현실에서 시작되고 기록된다”고 의미심장하게 적었다.
이어 “일제가 남긴 야만의 흔적도, 지금 대한민국을 향한 도발과 적대행위도 우리가 당당하게 맞서야 할 미래를 위한 역사”라고 했다.
정 전 총리는 “이번 방일 취소는 지금까지 보여 준 일본 정부의 오만방자한 외교의 결과”라며 “일본이 이번 일을 계기로 주변국을 존중하는 상호호혜 선린외교의 자세로 돌아오길 촉구한다”며 글을 맺었다.

앞서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전날 오후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방일 무산 소식을 전하며 “한일 양국 정부는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한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양국 간 역사 현안에 대한 진전과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에 대해 의미 있는 협의를 나눴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수석은 “상당한 이해의 접근은 있었지만, 정상회담의 성과로 삼기에는 여전히 미흡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올림픽 기간 우리 선수들을 격려하고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 한일정상회담을 갖는 등 문 대통령의 방일 여부를 타진해 왔다. 하지만 방위백서를 통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문 대통령의 한일관계 개선 노력에 대한 소마 히로히사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의 성적인 망언 등 논란이 이어지며 끝내 일본 방문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의 첫 대면 정상회담도 이뤄지지 않게 됐다. 앞서 양국은 지난 6월 G7 정상회의 기간에도 약식 정상회담을 갖기로 합의했지만 일본 측의 일방적 취소 통보로 무산된 바 있다.

또 다른 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박 수석의 발표 약 1시간 앞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 방일, 지금은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전 대표는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고심 어린 모색을 저는 잘 안다”로 시작하는 글에서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하는 대통령 방일은 이제 접을 때가 된 것으로 저는 판단한다. 지금 일본 측 태도로는 성공적 한일정상회담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이 전 대표는 “G7 정상회의장에서의 약식 한일정상회담이 일본 측의 소극적 자세로 무산된 기억이 생생하다”면서 “그런 터에 주한 일본 총괄공사의 수치스러운 망언이 튀어나왔고, 그에 대해 일본 측은 합당한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고 그간 일본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
이어 “도쿄올림픽기의 독도 도발, 기존 한일 현안에 대한 일본 측의 경직되고 편협한 태도도 바뀌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한일정상회담에 기대를 갖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짚었다.
이 전 대표는 “일본이 세계의 신뢰받는 지도국가, 아시아의 존중받는 이웃 나라기를 원한다면 이래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며 글을 마쳤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