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법무부·FBI·국토안보부 등도 자체 조치 발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마이크로소프트(MS) 이메일 해킹 등 각종 사이버 공격을 중국 소행으로 규정하고 추가 조치를 암시했다. 민주주의와 인권 등을 고리로 중국을 비판해 온 미국인 사이버 분야에서도 대(對)중국 공세를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백악관은 19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올해 초 MS의 이메일 서버 소프트웨어 ‘익스체인지’를 겨냥한 해킹 공격 배후로 중국 국가안전부와 연계 해커를 지목했다. 미국 기업을 상대로 수백만달러를 갈취하는 랜섬웨어 공격 시도 등 미국과 동맹국에 대한 다수의 사이버 공격에 중국이 연루됐다고 지적했다.
백악관은 “사이버공간에서 중국이 보이는 무책임한 행위의 양상은 세계에서 책임 있는 리더가 되겠다는 중국의 목표와 모순된다”고 비난했다.
이번 대중 공세에는 미국의 동맹인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영국, 캐나다,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도 동참한 게 특징이다.
미 고위 당국자는 “중국의 사이버 공격 규탄에 가장 많은 국가가 참여한 것이며 나토가 동참한 것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동맹과 함께 대중 견제에 나서는 기존 기조를 사이버공격 대응에서도 이어간 것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유럽을 방문, EU와 나토 등에 대중 압박 동참을 설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에서 중국 정부가 사이버 스파이 작전을 직접 수행하진 않았지만, 중국 내에서 그런 활동을 한 해커들을 보호하는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해킹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며 20일 자세한 보고를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하지만 중국이 어떤 대가를 치를지에 대해서는 명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중국과 경제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동맹과 중국에 맞서는 어려움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당국자는 “중국에 책임을 지우기 위한 추가적 조치를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초반에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와 함께하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 정부는 글로벌 해킹 활동에서 역할을 한 중국에 대해 추가적인 조처를 할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협력이 더 나은 접근법으로 본다면서 “중국 당국과 접촉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올해초 MS 익스체인지 해킹으로 전세계에서 14만개 서버가 피해를 봤고, MS는 3월 중국 배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이에 대해 미국과 동맹국이 입장을 낸 것은 처음이다. WP는 “당시 해킹 피해는 중소기업에 집중됐고 연방정부 피해는 없었다”고 전했다.
백악관은 중국의 사이버공격에 대응하는 행정부 자체 조치들도 발표했다.
미 법무부는 중국 국가안전부 소속 해커 4명을 기소했다. 이들은 10여개 국가에서 정부 및 기간산업 부문을 수년간 공격해왔고, 에볼라 백신 기술을 훔치려고도 했다고 설명했다.
미 연방수사국(FBI) 및 국토안보부 소속 사이버안보·기간시설안보국(CISA)은 이날 사이버보안 주의보를 발령하고, 중국 정부가 배후인 사이버 공격에 동원된 기법 50여 가지를 공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