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산내 ‘골령골’ 집단 암매장 유해 발굴을 위한 자원봉사자 모집 과정에 이승만, 김창룡 등의 이름으로 허위신청한 이들이 유족으로부터 고소를 당했다.
19일 대전 산내 골령골 대책회의와 유족회 등에 따르면 지난달 유해 발굴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온라인 페이지에서는 20건가량의 허위 신청 의심 사례가 발견됐다.
대책회의 측은 이승만, 김창룡, 심용현 등의 이름으로 신청한 이들에게 신원 확인차 연락을 했으나 신청한 이름과 다른 타인의 번호로 확인되거나 ‘신청한 적 없다’는 대답만 받았다.
이들 이름은 산내 학살 사건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지목된 이들과 이름이 같았다. 이승만은 당시 대통령이며, 김창룡은 당시 육군 방첩대(CIC) 대장, 심용현은 산내 집단학살 책임자였다.
대전 산내골령골대책회의와 유족회는 이날 이들을 대전 동부경찰서에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유족회 관계자는 “진실규명 활동을 위한 중요한 작업인 유해 발굴 과정에 허위로 자원봉사 신청을 반복적으로 한 것은 악의적”이라며 “또 한번 희생자 유가족에게 정신적으로 고통을 주는 행위인 만큼 엄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 동구 낭월동 13번지 ‘골령골’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7월, 제주 4·3사건과 보도연맹 관련자 등 대전형무소 수감자와 민간인이 집단 처형된 곳이다. 희생자는 최소 7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