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덮친 가운데, 민주노총 집회에 참여했던 조합원 3명이 확진되자 정부가 참가자 전원에게 진단 검사를 받으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은 19일 입장문을 내고 “방역실패 책임을 노동자에게 돌리지 말라”고 반발했다.
그는 “집회 참석자에 대해 방역당국은 ‘강서구 직장 관련 확진자’로 규정하며 집회를 통한 감염이 확인되지 않았음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럼에도 국무총리가 앞장서서 ‘민주노총 집회 확진자’로 규정하며 방역실패의 책임을 민주노총에 전가하는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불쾌감을 표했다.
양 위원장은 “집회가 진행된 후 민주노총은 유증상자에 대해 반드시 진단검사를 시행하도록 했고, 이번에 확인된 조합원 역시 같은 지침을 준수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장잠복기인 2주가 지난 시점에서 참가자 전수조사는 실효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불필요하지만 조금의 우려라도 해소하기 위해 전원검사지침을 발표했다”고 했다.
민주노총 대규모 집회는 경찰과 서울시가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금지했지만 지난 3일 강행됐다.
이번에 코로나19 신규 확진된 조합원 3명도 해당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14일부터 증상이 발생해 16일과 17일 각각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다만 양 위원장은 광주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000명 규모의 민주노총 대의원 대회는 잠정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오는 10월20일 예정된 ‘110만 총파업 투쟁’은 계속 진행하겠단 입장을 재확인했다.
경찰은 3일 집회를 주최한 관계자들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감염병예방법위반, 일반교통방해죄 등의 혐의로 참가자 23명을 입건 처리했다. 서울시는 집회 참가자 전원 명단을 요청한 상태다.
한편,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이날 “평균 잠복기를 고려해봤을 때 집회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선제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검사 명령을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당국은 확진자들의 감염 경로에 대해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