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유니스트 김황·박영우 교수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1’ 본상 2건 수상

입력 : 2021-07-20 03:00:00 수정 : 2021-07-19 11:52:02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1’에서 본상을 수상한 유니스트 연구진. 왼쪽부터 김성범 대학원생, 오혜진 학생, 박영우, 김황 교수, 이지영, 장성원 대학원생. 유니스트 제공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디자인학과 김황·박영우 교수팀이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1’에서 2건의 본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수상한 디자인은 오디오 도슨트 ‘모모(MoMo)’와 전시 감상 공유 앱 서비스 ‘모이(moee·My Own Exhibition Experience)’다

 

‘모모’는 절제된 형태의 핸드헬드 오디오 도슨트 제품이다. 정사각형 액자형태의 거치대와 9개의 모듈로 이뤄져있다. 손에 쥘 수 있는 작은 사각형 모양의 모듈은 무선 이어셋과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됐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1’에서 본상을 수상한 유니스트 연구진의 ‘모모’. 유니스트 제공

각각의 모듈은 액자 형태의 거치대에 픽셀로 보관된다. 보관하면서 충전을 동시에 한다. 관리가 용이하다.

 

사용법도 간단하다. 미술관 카운터에서 모모를 직접 꺼내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모듈 안에 들어있는 이어셋을 착용하고, 설명을 듣고 싶은 작품 근처에서 버튼을 누르면 작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버튼을 돌리면 음향 조절도 할 수 있다.

 

모모 디자인은 김황·박영우 교수와 장성원·이지영 대학원생이 함께 참여했다.

 

박영우 교수는 “기존의 도슨트 제품은 미술관 어울리지 않는 색과 형태로 길게 늘어뜨려진 선을 감아 카운터에 배치돼 있다”며 “모모는 직관적이고 심미적인 디자인을 갖췄고, 사용법도 쉬워 관람객이 온전하게 전시에 몰입하도록 도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니스트 연구팀의 전시 경험 기록·공유 앱 ‘모이’. 유니스트 제공

‘모이’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전시 경험과 감상을 기록하고, 또 다른 관람객들과 이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앱 서비스이다. 서비스 디자인에는 김황 교수와 김성범 대학원생, 오혜진 학생이 참여했다.

 

앱 서비스는 작품 앞에 머무르는 관람객의 발자국을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사용자가 전시장과 작품이 표현되는 화면에서 원하는 작품을 선택하고, 목소리 또는 글 형태로 감상을 남길 수 있다. 이렇게 남은 감상은 발자국 모양의 아이콘으로 기록된다. 사용자들은 이 기록을 서로 확인하고 나누며 전시 경험을 넓힐 수 있다.

 

김황 교수는 “전시회를 방문한 사람들은 주관적인 감상을 표현하거나 보관하기 어렵고, 큐레이터의 정보전달은 단방향적으로 이뤄져 전시 경험에 한계를 갖는다”며 “모이는 전시 중 소통을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고, 전시가 끝난 후에도 감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전시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