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주열 “금리 인상 시점, 지켜볼 필요 있다”… 올해 가능성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7-16 17:13:53 수정 : 2021-07-16 17:13:52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늦어서도 안 되지만 서둘러서도 안 된다”며 “연내 금리인상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했지만 시작 시점은 코로나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질서있는 금융 정상화’라는 기준금리 인상 메시지를 여러차례 던진 바 있다. 또한 내년에나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보다 한은이 올해 중에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블룸버그가 국내외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소 등 29개 기관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를 보면 골드만삭스, JP모건, 바클레이즈 등 5곳은 한은이 올해 4분기에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에서 0.75%로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향후 기준금리 조정 시나리오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10월 설이다. 7월과 8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등장한 뒤, 10월에 금리인상이 실제로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로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1명의 소수의견이 나오면서,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은 ‘시나리오’ 대로 갈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밀릴 수도 있다는 분석도 무게가 실리게 됐다.

 

이 총재는 “현재 경제 주체들의 수익 추구 행위,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진전된다면 언젠가는 조정을 거치고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컨트롤(조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많은 사람이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오래 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조정을 위해) 금리와 거시 건전성 정책 등이 같이 가야 한다”고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는 확고하다. 하지만 코로나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결국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코로나 4차 대유행이 언제 진화되냐에 따라 달렸다.

 

이밖에 이날 이 총재는 정부의 재난지원금 ‘선별지원’ 주장에 힘을 보탰다.

 

이 총재는 “재정 재원은 기본적으로 한정된 것이고,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은계층과 피해가 적거나 오히려 부를 더 쌓은 계층이 공존하는 상황을 고려해야한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얼마나 많은 재원이 추가로 소요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재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피해를 입은 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