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딜로이트 “한국 기업 49% 클라우드 도입 망설여”

입력 : 2021-07-17 03:00:00 수정 : 2021-07-16 14:26:07

인쇄 메일 url 공유 - +

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는 딜로이트 글로벌의 ‘필수가 된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회(The cloud imperative, and Asia Pacific’s unmissable opportunity)’ 보고서 결과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산업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가 1600억달러(약 182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아태지역 8개국(호주·중국·홍콩·인도·일본·한국·뉴질랜드·싱가포르)의 6개 주요 산업군을 대상으로 한 이번 보고서는 클라우드가 가져다줄 기회와 클라우드 도입 장벽을 연구하고 개별 국가와 아태지역 수준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서 산업별 기민한 변혁이 요구되면서 클라우드는 기업의 생존과 번영에 필수적인 기술로 떠올랐다. 아태지역 8개국의 비즈니스 리더 6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62%가 클라우드 기술 도입 수준이 앞으로 3년 후에 더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클라우드는 조직이 더 자주, 신속하게 혁신하고 도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를 도입함으로써 미래에 직면할 도전과제와 조직의 요구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명제에 각각 72%, 71%의 비율로 동의했다. 

 

그러나 실제로 클라우드 기술에 대한 준비가 된 기업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태지역 기업 중 46%가 아직 클라우드를 도입하지 않았거나 클라우드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경우는 49%로 아태지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클라우드 기술 도입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보안(40%), 기술 부족(39%), 레거시 시스템에서의 전환과 하이브리드 운영 환경의 어려움(37%)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댄 뉴먼(Dan Newman) 딜로이트 컨설팅 아시아퍼시픽 클라우드 트랜스포메이션 리더는 “클라우드는 기업의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을 개선해 경쟁 우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와 성장 기회 등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며 “클라우드는 기업과 산업을 넘어 국가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반에 걸쳐 기여하는 경제적 이점이 크다”고 말했다.  

 

김현정 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 클라우드 트랜스포메이션 리더 겸 부사장은 한국 상황에 대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은 반면 클라우드 도입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여정은 클라우드와 분리될 수 없으며 클라우드의 잠재력에 기반한 접근 방식으로부터 시작돼야 한다”며 “보다 체계적인 방법론에 기반한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기업은 비즈니스 가치를 확대하고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에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