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만 차별받아야 하고 희생해야 하나”
기자회견 마치고 공식 질의서 국무총리실에 전달

“자영업자들은 죄인이 아닙니다”
릴레이 1인 발언 형식으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영업자들은 이렇게 호소했다. 이들은 “1년6개월 동안 아무리 힘들어도 참고 인내했지만 이제는 버틸 힘이 없다”면서 “먹고 살 수 없어 거리에 나올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4단계 거리두기로 인한 피해가 자영업자들에게 주로 집중되고 있다면서 정부 대책이 하루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종별 자영업자 단체들이 연합한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6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단계 거리두기는 자영업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을 넘어 더는 버틸 힘마저 없는 우리에게 인공호흡기까지 떼어버리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조지현 공간대여협회 대표는 “왜 저희만 차별받아야 하고 계속 희생해야 하냐”면서 “자영업자들이 혈서 쓰고 극단적 선택을 해야 그때서야 이야기를 들어주시겠느냐”며 호소했다.
앞서 지난 14일 김기홍 비대위 대표 역시 “코로나 1년6개월간 정부는 ‘기다리라'는 말만 했고, K-방역의 피해자는 늘 자영업자였다”면서 “자영업자들은 빚더미와 눈물로 버티는데, 언제까지 자영업자들 문을 닫고 코로나를 막겠다고 할 겁니까”라고 울분을 내뱉기도 했다.

이들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업종별 방역수칙 재정립▲손실보상심의위원회에자영업 단체 참여 보장▲최저임금 인상률 차등 적용 등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마치고 이런 내용을 담은 공식 질의서를 국무총리실에 전달했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14일에 이어 전날에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일대에서 두 번째 차량 시위를 벌였다.
비대위 측은 애초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사거리 인근에서 모인 뒤 강변북로∼잠실대교∼올림픽대로를 거쳐 다시 출발 지점으로 돌아오는 차량 시위를 벌일 예정이었으나 경찰이 구간을 통제하자 월드컵경기장 사거리∼가양대교 구간을 돌며 이날 0시께부터 1시간가량 항의 시위를 진행했다. 이날 시위에는 주최 측 추산 약 300대가 참여했다.

경찰 통제로 행렬에 참여하지 못한 차량까지 합하면 약 500대가 시위를 위해 상경했을 것으로 본다고 주최 측은 설명했다.
자영업자들은 경찰이 차량 행진을 막자 항의의 의미로 차량 경적을 울리거나, 창문을 닫은 채로 ‘희망고문 그만하고 상생방역 실시하라’ 등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경찰은 자영업자들의 1인 차량 시위가 정부에 신고하지 않은 불법 시위인데다 보통 1인 시위보다 더욱 엄격한 요건이 필요한 만큼 엄정 대응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